-
-
122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9-09
- 188
- 동영상동영상
-
-
120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9-09
- 246
- 동영상동영상
-
-
118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8-27
- 620
- 동영상동영상
-
-
116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8-26
- 725
- 동영상동영상
-
<60dB 페미니즘: 당신 곁에 페미니즘> 스틸컷아주대학교 사회학과 학생들이 제작한 영상이 ‘서울국제여성영화제’와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에서 상영작으로 선정됐다.올해 8월 21일부터 27일까지 서울에서 개최하는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여성의 삶과 사회를 조명하는 다양한 영화를 소개하는 국내 영화제다.이번 영화제는 슬로건 ‘F를 상상하다(Reimagining F)’를 주제로 영화(film), 여성(female)부터 우정(friendship)과 연대(fellowship), 페미니즘(feminism) 등 알파벳 ‘F’로 시작하는 다양한 의미가 담긴 국내외 작품들을 상영한다. 영화제에는 총 130여 개국에서 4100여편의 작품이 출품됐으며, ‘페미스코프’ 팀이 참여한 비경쟁 섹션 중 하나인 ‘쟁점: 광장과 현장’부문에서 7편이 상영작으로 선정됐다.우리 학교 배다현∙임다은∙천윤희 학생들로 구성된 ‘페미스코프’ 팀이 출품한 <60dB 페미니즘: 당신 곁에 페미니즘> 작품은 상영작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페미스코프’팀은 2025년 1학기 파란학기제 프로젝트로 결성된 팀으로 도전과제를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으로 삼았다. 이들의 작품은 20대 여성 페미니스트 여섯 명의 일상을 사회적 시선으로 담아내고 있다. 괴물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 페미니스트가 살아가는 하루를 통해, 조용하지만 분명한 목소리(60dB)로 삶 속에 스며든 페미니즘을 포착했다.배다현 학생은 “파란 학기를 통해 평소 품고 있던 고민을 다큐멘터리로 풀어낼 수 있었다”며 “페미니즘 정체성과 다양한 교차성을 가진 6명의 인터뷰이들과 파란학기 관계자, 지도교수님, 응원해준 사회학과 선배들에게 감사하다”고 전했다.한편,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에서 우리 학교 사회학과 김소언 학생도 출품한 영상이 상영작으로 선정됐다.'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는 올 9월 11일부터 17일까지 경기도 파주와 고양에서 개최한다. 분단의 상징 ‘DMZ’와 다큐멘터리를 통해 평화∙생명∙인권의 가치를 조명하는 국내 대표 다큐멘터리 영화제다.올해 영화제는 ‘우리가 살고 싶은 하루’를 주제로 불확실한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과 사회를 성찰하고, 공존과 존엄,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다큐멘터리 작품들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한다.김소언 학생의 ‘청시(聽視)’는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한국경쟁 단편 부문 상영작으로 선정됐다. 상영작은 영화제 오프라인 상영뿐만 아니라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자체 OTT인 ‘다큐보다’에서도 온라인으로 상영된다. ‘청시(聽視)’는 이명이 들리는 사람과 소리가 들리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따라가며, ‘소리’가 인식되는 방식과 그 안에서 이뤄지는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김소언 학생은 익숙한 소리를 낯설게 바라보고, 들리는 것 너머의 감각과 인간-소리 사이의 깊은 연결을 새롭게 정의하려는 시도를 작품에 담았다.김소언 학생은 “제 안에 떠오른 질문을 끊임없이 탐구하여 메시지를 자신있게 담을 수 있었다”며 “기획부터 편집까지 전 과정이 모두 배움이었다”고 전했다.<청시(聽視)> 스틸컷
-
114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8-12
- 1185
- 동영상동영상
-
-
112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7-31
- 1023
- 동영상동영상
-
-
110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7-25
- 1163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학생들이 ‘2025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에서 논문경진대회 부문과 아이디어경진대회 부문에서 연이어 수상했다. 지도 교수는 전자공학과 이호원 교수가 맡았다.지난 6월 18일부터 21일까지 제주에서 열린 ‘2025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는 통신, 네트워크, 인공지능 융합 등 차세대 정보통신 기술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와 기술 동향을 공유하는 학술대회다. 이번 대회에서는 ‘연결성을 넘어서: AI, 양자, 로봇 공학(Beyond Connectivity: AI, Quantum, and Robotics)’를 주제로 진행됐다. 관련 연구자들이 모여 ICT의 미래를 조망하기 위해 국내외 2,200여 명의 연구자들이 참가했고, 1,100여편의 논문이 발표됐다. 우리 학교 AI융합네트워크학과 석사과정 김태욱 학생은 논문경진대회 부문 해동우수논문 대상을 수상했다. 전자공학과 최재혁 학생은 우수상, 박준우 학생은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 김태욱 학생은 ‘무선 은닉 통신 환경에서 강건성과 은닉성 최대화를 위한 계층적 강화학습 기반 무인기 전송 전력 및 위치 제어 기법’ 논문으로 해동우수논문 대상을 수상했다. 이 논문은 도청자가 존재하는 통신 환경에서 무인기의 전송 전력과 위치를 제어하여 도청자에게는 신호를 은닉하고 수신자에게는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강화학습 기법을 제안했다. 해당 연구는 기술의 실효성과 응용 가능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최재혁 학생은 ‘다중 에이전트 계층적 강화 학습을 활용한 군집 UAV ISAC 시스템 자원할 당 최적화 기법’ 논문으로 우수상을, 박준우 학생은 ‘OFDM 시스템에서 LS 채널 추정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딥러닝 기반 Neural Receiver 설계’ 논문으로 장려상을 받았다. 각각 군집 UAV 기반 ISAC 네트워크에서 통신·센싱 자원의 지능적 분배 문제를 다룬 연구와, OFDM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수신기 설계를 제안했다. 또한 학회와 함께 진행된 아이디어경진대회에서도우리 학교 전자공학과 학생들이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경진대회는 디지털 공간, 로보틱스, 인공지능(AI)의 융합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주제로 진행됐다. 김준식 학생이 ‘SLAM 기반 로보틱스 시스템을 활용한 임대 공간 디지털 구현 및 체험 설계’ 아이디어로 대상을 ▲박준우 학생이 ‘군집 로봇을 활용한 분실물 탐색 시스템 ‘Sweep search’’로 우수상 ▲윤희문 학생의 ‘차세대 재난 구조 자동화 시스템’, 박은서 학생의 ‘AI 드론 러닝 코치 ‘달리미’로 각각 장려상을 수상했다.해동우수논문 대상을 수상한 AI융합네트워크학과 석사과정 김태욱 학생
-
108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7-15
- 1289
- 동영상동영상
-
-
106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7-11
- 1413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석사과정 정윤근·김예진 학생이 ‘국제 고분자 분석 및 특성화 심포지엄(ISPAC 2025)’ 대회와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KTERMS 2025)’에서 각각 최우수상·우수상을 수상했다. 지난 6월23일부터 27일까지 싱가포르에서 열린 ‘국제 고분자 분석 및 특성화 심포지엄((International Symposium on Polymer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은 고분자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정밀 분석기술과 응용 기반의 연구를 다루는 국제 학술대회다.이번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접근을 통한 고분자 특성 분석의 과제와 가능성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고분자 기술의 발전 ▲퍼스널케어, 의료, 식품 분야를 위한 고분자 응용 ▲산업용 고분자 및 복합소재의 활용 ▲새로운 분야에서의 차세대 고분자 기술을 주제로 총 5가지 분야에 대한 포스터 발표가 진행됐다.정윤근 학생은 퍼스널케어, 의료, 식품 분야를 위한 고분자 응용 부분에서 ‘덱사메타손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PCLA 기반 3D 바이오프린팅 잉크의 개발’을 논문으로 1등상인 최우수상을 받았다. 논문에서 정윤근 학생은 덱사메타손(약물)을 탑재한 생분해성 3D 프린팅 스캐폴드를 개발하고, 고분자의 조성비를 조절함으로써 약물 방출 속도와 생분해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연구를 제시했다.해당 연구는 열적 안정성, 프린팅 적합성, 생체 적합성 등 다양한 물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개인 맞춤형 약물전달 시스템으로서 응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한편, ‘2025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Korean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Society)에서 우리 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김예진 학생도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했다.지난 5월 2일부터 이틀간 판교에서 개최된 ‘2025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는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기술 응용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내 대표 학술대회다. 이번 대회는 ▲의학 ▲생명과학 ▲공학 ▲제약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생체재료 의료기기, 약물 전달, 조직공학 등 14개 이상 분야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김예진 학생은 ‘상처 치유 및 줄기세포 이동 향상을 위한 SP1 탑재형 가교 소장점막하층 스캐폴드 개발’이라는 주제의 연구로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받았다. 해당 연구에서 김예진 학생은 줄기세포 유도 효과를 지닌 뉴로펩타이드 유사체인 Substance P1(SP1)을 탑재한 가교 소장점막하층(SIS) 기반 생체소재 스캐폴드를 개발했다.김예진 학생은 이번 연구에서 SP1의 줄기세포 유도 특성을 활용하여 세포 이동성과 상처 치유 능력을 향상시키고 스캐폴드의 조성과 구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약물 방출 속도와 스캐폴드의 분해 특성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설계, 연구의 창의성과 실용 가능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
104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7-07
- 1359
- 동영상동영상
-
-
102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7-02
- 1514
- 동영상동영상
-
-
100
- 작성자손예영
- 작성일2025-06-20
- 1976
- 동영상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