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교내소식

NEW 이광진 동문, 메타물질 구조 이용해 유기 반도체 제어하는 기술 개발

 
 
우리 학교 이광진 동문(물리 99, 사진)이 참여한 연구팀이 유기 반도체에서 일어나는 전하이동 동역학을 메타물질 구조를 이용해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 이화여대 이화CNRS국제공동연구소 소속의 박사후 연구원으로 몸 담고 있는 이광진 동문의 이번 논문은 학술지 네이처 머터리얼즈(Nature Materials) 6월5일자에 게재됐다. 이 동문은 제1저자로 참여했다. 이광진 동문은 우리 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한 후,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동문이 참여한 이화여대 우정원 교수 연구팀의 이번 논문은 라는 제목이다. 
 
연구팀은 나노 구조 메타 물질이 유기 반도체의 전하 동역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발견, 전하 이동을 설명하는 기존의 마커스 이론을 확장하여 위 현상을 성공적으로 설명해냈다. 메타물질이 유기 반도체 주변의 유전 환경을 비국소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전하 이동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광진 동문은 “이를 발견한 기술을 활용하면 유기 태양전지에서 일어나는 전하 이동을 메타 물질을 이용하여 원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며 “더불어 유기 활성층 자체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논문을 통해 유기분자 내에서 발생하는 엑시톤(exciton)의 수명을 메타물질로 간편하면서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며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나노 포토닉스 분야와 유기 반도체 분야를 융합한 연구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