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Ajou News

NEW 개교 50주년 기념 주간 'ai 페스티벌', 다양한 학술행사 열려

  • 2023-04-17
  • 2756


아주대학교가 개교 50주년을 기념해 다양한 학술 행사를 개최했다. 학술 행사는 ‘아주대학교 개교 50주년 기념 주간 – ai(Ajou Innovations)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우리 대학 캠퍼스 곳곳에서 진행됐다. 


먼저 지난 11일에는 <인공지능 및 AI-6G 융합 콜로키움 시리즈>가 다산관 대강당에서 열렸다. 아주대 대학원 인공지능학과∙Ai융합네트워크학과와 BK사업단이 중심이 되어 인공지능 분야 연구를 선도해온 석학들을 초빙, 학술 발표를 진행했다. 


▲김선 교수(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최재식 센터장(KAIST AI대학원 성남연구센터) ▲이성환 특훈교수(고려대) ▲조성배 교수(연세대학교 인공지능대학원장, 과기부 인공지능기술협의회 위원장) ▲신현정 교수(아주대 산업공학과 , 한국정보과학회 인공지능소사이어티 교육부 회장)이 ChatGPT와 인공지능, 딥러닝 모델 등에 대해 강연했다. 


이어 13~14일에는 아주대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신산업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석학들이 참여하는 온·오프 강연과 컨퍼런스가 연이어 개최됐다.


<Global Lecture Series-노벨 화학상 수상자 강연 및 에너지 소재 심포지엄>은 13일 오전 10시부터 연암관 대강당에서 열렸다. 2021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데이비드 맥밀런(David William Cross MacMillan)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교수가 연사로 나서 “유기촉매의 발전과 노벨상을 향한 길(The Development of Organocatalysis and the Pathway to a Nobel Prize)”을 주제로 강연했다. 맥밀런 교수는 비대칭 유기촉매를 비롯한 본인의 연구 분야뿐 아니라 본인의 학술적 여정, 그리고 노벨상을 타기까지의 경험과 시행착오, 노벨상 수상 이후의 여러 경험 등을 이야기 했다. 


같은 날인 13일 오후에는 <AI 반도체 컨퍼런스>와 <모빌리티 컨퍼런스>가 이어졌다. <AI 반도체 컨퍼런스>에는 강성모 KAIST 전 총장을 비롯한 AI·시스템 반도체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섰다. <모빌리티 컨퍼런스>에는 교통 분야의 세계적 학자인 S.C.웡(S.C. Wong) 홍콩대학 교수와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학의 모하메드 압델-아티(Mohamed Abdel-Aty) 교수가 연사로 나섰다. 


마지막 날인 14일에는 연암관 대강당에서 <아주 바이오-헬스 사이언스 리서치 페어>가 진행됐다. 기초 연구를 토대로 실용화를 위해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아주대 연구진과 학계·산업계 연사들을 초청해 바이오-헬스 분야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2022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캐롤린 버토지(Carolyn R. Bertozzi) 미국 스탠포드대학 교수가 “생체직교화학-기초과학에서 임상중개까지(Bioorthogonal Chemistry, from Basic Science to Clinical Translation)”를 주제로 강연했다. 이어 국내 연구진이 ▲항암제 ▲약물전달 기술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활용 치료 및 약물 개발 등에 대해 발표와 토론을 이어갔다.


한편 10~11일에는 개교 50주년 기념 전야제가 열려, 총학생회 주관으로 푸드트럭, 플리마켓, 공연과 영화 상영 등이 진행됐다. 14일에는 아주대학교의료원 의료봉사동아리가 함께 하는 지역 의료봉사 행사가 마련됐다. 이날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아주대병원 교수와 전공의, 간호사들이 주축이 되어 의료 혜택을 받기 어려웠던 외국인들과 소외계층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내과,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정형외과, 치과 진료를 진행했다. 아주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도 함께 진행됐다.  


<인공지능 및 AI-6G 융합 콜로키움 시리즈>에서 딥러닝 모델과 산업 응용에 대해 발표하고 있는 조성배 연세대 교수


<모빌리티 컨퍼런스> 에서 도심 모빌리티 시스템 하에서의 교통 안전에 대해 강연하는 모하메드 압델-아티(Mohamed Abdel-Aty) 교수


 <아주 바이오-헬스 사이언스 리서치 페어>에서  강연하는 2022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캐롤린 버토지(Carolyn R. Bertozzi) 미국 스탠포드대학 교수


강연이 끝난 뒤 연사에게 질문하는 아주대 학생 


지역의료봉사에서 함께 진행된 아주 구성원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


전야제 기간 중 진행된 학생 축제 모습



* 위 사진 설명 :  2021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데이비드 맥밀런(David William Cross MacMillan)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교수가 “유기촉매의 발전과 노벨상을 향한 길(The Development of Organocatalysis and the Pathway to a Nobel Prize)”을 주제로 강연하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