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Vision 5.0 Global Campus

Video

NEW 첫 국가 CIO(Chief Information Officer) 김태유 교수 제7강좌 - 국가 발전과 과학 기술

첫 국가 CIO(Chief Information Officer) 김태유 교수

1970 - 1974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학사
1978 - 1980 미국 West Virginia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1980 - 1983 미국 콜로라도 대학(Colorado School of Mines)
경제학 박사(Business & Economics)
1983 - 1986 미국 Iona 대학교 경영시스템학과 조교수
1984 - 1985 미국 Columbia 대학교 Post. Doc.
1992 - 1993 미국 Arizona 대학교 객원교수
1987 - 현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기술정책 대학원과정 교수
2003.2 - 2004.1 대통령 정보과학기술 보좌관

[주 연구 분야]
기술경제학
산업기술정책
과학기술정책
자원경제학
에너지정책
국가 발전과 과학기술

  인간 개개인의 능력은 인종과 국적을 불문하고 대동소이하다. 그런데 지구상의 어떤 나라
는 국민소득이 삼사만불에 달하는 선진국이고 또 어떤 나라는 소득이 몇 백불도 안되어 기
아 선상에서 헤매는 후진국이다. 역사적으로도 어떤 나라는 지배자로 군림하고 또 어떤 나
라는 식민지의 노예 상태로 전락 했었다.
 과연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 5천년 인류 역사의 발전 과정을 되돌아 보면서 국가발전의
기본 원리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오천여년전에 시작된 농업사회는 어떤 사회이고 어떤 나라가 선진국이 되었는가? 상업사
회를 거쳐 삼백년 전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에는 왜 어떤 나라가 선진국이 되었는가? 그리
고 산업사회의 어떤 속성 때문에 선진국과 후진국이 형성되어 왔는지를 역사적 사실에 근거
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강의의 주제(key word)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농업 기술 혁명과 체감하는 사회
. 산업 혁명과 체증하는 사회
. 기술 선도형 국가발전
. 기술 후격형 국가발전
. 기술 혁신형 국가발전
. 21세기 선진국 대한민국을 향하여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국가발전 이론이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리고 IMF 경제위기 이후 국민소득 일만불에서 8년째 국가 발전이 정체되고 있
는 한국 현실에 비추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