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Vision 5.0 Global Campus

Video

NEW 따뜻한 여성인권운동가 이미경 소장 2004-2학기 3강-성폭력 없는 대학 문화를 위하여

이미경
< 학력 >
-1984 원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졸업
-1989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졸업            
-1997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대학원 정책학과 졸업(Sydney, Australia)
-2002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박사과정 수료
< 경력 >
-1989-2002  단국대, 이화여대, 원광대, 서강대 등에서 여성학, 행정학 강의
-1991-1993  한국성폭력상담소 총무
           <김부남 사건 공동대책위원회>, <성폭력특별법제정 특별위원회>,
           <김진관 김보은 사건 공동대책위원회> 위원
-1997-2000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소장,   성폭력피해자 보호시설 <열림터> 시설장
-2002-현재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
           여성부 정책자문위원, 경찰청 시민단체․경찰협력위원,
           청소년보호위원회 자문위원, 법무부 수사절차상 여성인권보호를 위한 TFT
           전국성폭력상담소․보호시설협의회 상임대표       
           <성폭력 역고소 공대위> 공동대표,  <신부에 의한 유아성폭력 사건공대위> 공동대표

1. 문제제기 : 나 자신은, 우리는 성폭력을 어떻게 알고 있는가? (통념 짚어보기)
   1) 나에게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 젊은 여자들에게나 일어나는 일이다.
   2) 대부분 성폭력은 ‘컴컴한 골목’에서 ‘낯선사람’에 의해 ‘우연히’ 일어난다.
   3) 강간은 폭력이 아니라 조금 난폭한 성관계이다.
   4) 여자들은 은근히 강간당하기를 바란다.
   5) 가해자들은 정신이상자이다.
   6) 여자들의 야한 옷차림과 행동이 성폭력을 유발한다.
   7) 여자가 끝까지 저항하면 불가능하다(“흔들리는 바늘에 실꿰랴?”).
   8) 여자가 스스로 조심하는 것 말고는 성폭력을 방지할 뾰족한 방법이 없다.
 **  성폭력이란?
     성폭력은 강간, 강간미수, 성추행, 성희롱, 성기노출, 음란전화 등 성을 매개로 하여
     상대방의 동의 없이 인간에게 가해지는 모든 신체적, 언어적, 정신적 폭력을
     포괄하는 개념.  성적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행위.
                          
 2. 사례를 통해서 본 성폭력의 이해(토론)
  * 택시 기사에게 성폭행 당한 후 자살한 여대생의 경우
    - 자살로 몰고간 우리 사회현실/ 자신의 핸드폰번호를 알려준 가해자 태도의 시사점은?
    - 보도기자의 태도(“...정조관념이 희박해진 요즘 세태에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운동
   
3. 성폭력의 실제
   1) 발생빈도
      우리나라의 강간 신고율은 2.2~6.1%에 불과(한국형사정책연구원,1990, 1998)
      고소 건수 : 1992년 3,919건,  2001년 12,062건(피해 신고율 높아가는 추세)   
   3) 가해자의 강간동기 : 단순한 성적만족보다는 지배나 착취, 권력, 통제, 분노의 표시
   4) 강제와 저항의 문제 : 육체적 강제, 물리적 강제, 심리적 강제, 경제.사회적 강제.
   5) 피해여성들이 겪는 문제들
      - 심리적 문제: 손상된 물건 신드롬(The Damaged Goods Syndrome).  / "흠집...“
                     죄의식, 공포, 두려움, 무력감, 신뢰 상실, 자제력상실(시한폭탄현상),
                     억압된 분노와 적대감, 낮은 자의식, 남성혐오, 정상적 성관계 거부....
      - 육체적 문제 : 상해, 임신(강간피해자의 12%), 성병, 자살기도...
      - 경제적 문제 : 금전갈취, 수입상실, 치료비...
      - 법적인 문제 : 2차 피해(고소과정, 보도과정)
      - 의료적 문제 : 의료진의 진료기피, 성폭력 관련 전문성 부족 등
데이트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하여
▶ 데이트 성폭력이란? : 데이트 관계에서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일어나는 성적인 언행
▶ 가해자가 되지 않기 위해
① 다른 사람에게 성 관계를 강요하지 않는다.
   - 그 어떤 것도 당신에게 상대를 성적인 행위를 할 권리를 부여하지는 못한다.
    비싼 식사대접, 성적 흥분, 농도 짙은 애무가 일어났다 하더라도 그것이 자동적으로
    성교까지 연결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또한, 어떤 권위에 대한 복종이나 혹은 무엇에 대한 보상으로
   성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② 상대방의 ꡐ아니오ꡑ는 거부의 표시로 받아들인다. 침묵을 동의로 혼동하지 않는다.
③ 상대방과 성, 성적 느낌, 욕구 등에 대해 충분한 대화를 나눈다.
④ 당신이나 파트너가 술에 취했을 경우 성 관계를 갖지 않는다.
⑤ 다른 사람들이 성차별적 농담을 하거나 여성을 무시하는 발언을 할 때,
   여성을 이용하거나 학대할 때 이의를 제기한다.
⑥ 자신이 경험한 성폭력과 유사한 성 관계의 횟수와 성 경험에 대해서 자랑스럽게
   떠들어 대는 사람들에게 문제를 제기한다.
⑦ 대인관계에 있어서 다른 사람의 반응에 무신경하고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해 내지
   못하는 기존의 태도를 버린다.
⑧ 이성, 동성과도 충분한 우정을 나눈다.
⑨ 성폭력의 실상과 원치 않는 성 관계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이 알아 둔다.
⑩ 학교나 지역사회에 있는 성폭력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친구들에게 그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권한다.
▶ 피해자가 되지 않기 위해
① 평소 자기주장을 분명히 하는 태도를 갖는다.
② 규칙적인 운동과 체력단련을 통해 힘과 자신감을 기르고 호신술을 익혀 둔다.
③ 데이트 상대를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람은 피한다.
  - 당신을 평등하게 대하지 않고 무시하거나 모든 결정을 자기 마음대로 하려는 사람
  - 사랑이란 이름으로 당신의 행동과 생활을 지배하려는 사람
  - 소유욕과 질투심이 강하거나 신체적, 언어적으로 공격적인 남자
  - 술이나 약물을 지나치게 복용하거나, 그랬을 때 형편없는 행동을 하는 사람.
④ 집으로 돌아오는 길을 모르는 곳에서 데이트 하지 않는다.
⑤ 상대를 잘 모르거나 친밀한 관계가 될 마음이 없을 때에는 상대의 집에 가거나
   그를 당신의 집에 초대하지  않는다.
⑥ 성 관계를 갖겠다는 결정 없이는 함께 숙박업소의 방을 이용하지 않는다.
⑦ 모든 데이트 비용을 상대가 지불해서 성 관계를 거절하기 힘든 상황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