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생물학 및 치료학 연구실

화학생물학 및 치료학 연구실

Chemical Boiology and Therapeutics Laboratory

담당교수 : 김은하 교수

김은하 교수

연구실 소개

본 연구실은 화학생물학과 치료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우리는 화학과 생물학의 융합을 통해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아래와 같습니다.

약물 설계 및 합성: 유기화학을 기반으로 새로운 약물 후보물질을 설계하고 합성하여, 이들의 생물학적 활성을 평가합니다.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경로 활성화 기반 면역 항암제 개발: STING 경로 활성화를 통해 면역 체계를 자극하고 이를 이용하여 암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하는 능력을 강화 시키는 면역항암제 물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우리 연구는 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항체약물접합체 링커 개발 연구: 이에 더해 본 연구실에서는 화학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항체 약물 접합체를 생산하거나, 약물의 물성을 시공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링커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주로 면역 시스템의 조절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마커 발견: 질병의 초기 진단 및 치료 모니터링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탐색합니다.
형광현상 기반 이미징 프로브 개발 연구: 특정 형광 분자의 화학구조가 그 분자의 형광 현상에 미치고 있는 영향에 대해 이해하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형광 센서, 바이오 프로브 분자들의 개발 및 다양한 응용 기술들의 개발 연구를 진행합니다. 세포안에 있는 표적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조영하기 위해 이러한 분자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리간드와 형광체를 결합시켜 여러 가지 다양한 형광 바이오 프로브들을 개발하고 있습니다.본 연구실은 최첨단 연구 장비와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연구분야

  • STING (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pathway activator Immunooncology)
  • Click Chemistry-Based Antibody-Drug Conjugate Linkers
  • Bioconjugation
  • Structure Photophysical property relationship study
  • Fluorescent Bioimaging Probes
  • Exosome Diagnosis
  • Medicinal chemistry and drug discoveryExosome Diagnosis
  • Medicinal chemistry and drug discovery

연구실 갤러리

  • 3차 증류수기

    3차 증류수기

  • LCMS

    LCMS

  • microwave reactor

    microwave reactor

  • MPLC

    MPLC

  • MS

    MS

  • shimazu LC

    shimazu LC

  • 동결건조기

    동결건조기

  • 회전증발농축기

    회전증발농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