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진로 상담센터


  • 취업뉴스 더보기
    • 고용부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 1분기 구인·채용 늘며 부족인원 줄어든 영향 올해 2~3분기 채용계획 인원이 전년동기 대비 8% 이상 줄어 구직난이 가중될 전망이다. 1분기 구인·채용이 늘며 사업체 생산시설 가동, 고객 주문 대응을 위해 필요한 인원수인 '채용 부족인원'이 줄었기 때문이다. 2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2~3분기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채용계획 인원은 52만5000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4만6000명(-8.1%) 감소했다. 채용 부족인원도 52만4000명으로 전년 대비 8.1% 줄었다. 2~3분기 채용계획이 가장 많은 업종은 제조업(11만4000명), 도매 및 소매업(6만1000명), 보건사회복지업(6만1000명), 숙박음식업(5만1000명) 순이었다. 직종별로는 경영·행정·사무직(7만3000명), 영업판매직(5만2000명), 음식 서비스직(5만2000명), 운전운송직(4만7000명), 기계 설치·정비·생산직(2만9000명) 순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사업체의 채용 계획인원은 47만9000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4만4000명(-8.5%) 줄었다. 300인 이상 사업체도 4만6000명으로 2000명(-4.5%) 감소했다. 올해 1분기 구인(143만9000명)과 채용(132만명)은 전년대비 각각 4만7000명, 9만4000명 늘었다. 미충원인원은 4만8000명 감소했고, 미충원율은 3.7%p 하락한 8.3%로 집계됐다. 미충원 사유로는 '임금 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이 24.5%로 가장 많았다. '사업체에서 요구하는 경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기 때문'이라는 답변도 22.1% 나왔다. 사업체들이 인력부족 해소를 위해 '채용비용 증액 또는 구인방법 다양화(60.8%)', '임금인상 등 근로자 조건 개선(33.7%) 등의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뉴스앤잡 (24.06.27)

      2024. 7. 1

    • 1년 7개월째 감소세를 보이는 청년 고용이 최근 더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고용의 질을 대표하는 상용직이 20만명 가까이 급감하면서다. 24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15~29세)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총 235만3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9만5천명 줄어든 것으로, 최근 10년 사이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5월을 기준으로 보면, 2020년 224만9천명이던 청년층 상용직은 계속 증가해 2022년 255만8천명까지 늘었지만, 작년 254만8천명으로 감소한 이후 올해도 줄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청년층의 상용직 감소세는 심각한 수준이다. 30·50·6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상용직이 1년 전보다 각각 9만3천명, 6만4천명, 20만4천명 늘었다. 40대는 9만1천명 줄었는데, 청년층 감소 폭의 절반 수준이다. 청년 고용은 전체적인 양에서도 꾸준한 감소세다. 지난달 청년층 전체 취업자는 383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3천명 줄었다. 2021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로, 1년 7개월째 내리막이다. '그냥 쉰다' 청년 40만명…구직단념자 30%는 청년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그냥 쉬는 청년'은 다시 늘어 약 40만명에 달했다. 지난달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층은 1년 전보다 1만3천명 늘어 39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5월 기준으로 지난 2020년 46만2천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다. '쉬었음' 청년은 지난해 9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감소 폭은 올해 3월부터 축소되는 흐름이 뚜렷했고, 지난달 증가세로 돌아섰다. 구직을 단념한 10명중 3명도 청년으로 나타났다. 올해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2만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만1천여명이 늘었다. 전체 구직단념자 중 청년층 비중이 31.1%였다. (노컷뉴스 2024.06.24)

      2024. 6. 24

    • 취업자 100명 중 16명은 일터를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옮긴 비율은 12%에 불과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22년 일자리이동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사회보험 등 행정자료를 토대로 파악된 등록취업자 수는 2만6057명으로 1년 전보다 56만7000명, 2.2% 증가했다. 이 가운데 다른 직장으로 일자리를 옮긴 이동자는 415만 9000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6%를 차지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9만7000명, 5% 증가했다. 직장을 계속 다닌 유지자는 1798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2.8% 늘어 전체 69%를 차지했다. 중소기업에서 이직이 가장 활발했지만 대기업으로의 문턱은 높았다.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향한 근로자는 12%인 반면 81.9%는 이직 뒤에도 중소기업에 재직했다. 대기업 출신 38.1%는 다시 대기업으로, 56%는 중소기업으로 이동했다. 일자리를 옮긴 근로자 34%는 임금이 오히려 감소했다. 65.1%만 더 많은 임금을 받았는데 남성과 여성잉 각각 64.2%, 66.4%로 나타났다. 29세 이하 근로자 70%는 임금을 더 받고 자리를 옮겼다. 이직 전후 임금차이는 25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출처 : MTN 2024.06.05)

      2024. 6.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