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과 알림

연구소 소식

아주통일연구소 한기호 교수, 남북관계 신간 ‘분단의 힘 - 경계가 지배하는 한반도’ (선인, 2022.8) 출간

  • 아주통일연구소
  • 한기호
  • 작성일 2022-09-18
  • 조회수 439

 

 

[책 소개]

 

분단의 힘경계가 지배하는 한반도는 저자의 주요 논문과 칼럼에세이 등에 최근까지의 남북관계 동향을 반영하여 엮은 책이다또한 전문학술서의 지식 전달 기능을 넘어 일반인들 누구나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도록 대중교양서의 전개방식으로 분단사회의 자화상을 다루고 있다현장과 이론의 조화를 중시하는 저자의 일상적이고 실존적인 고민들을 분단과 북한통일이라는 세 가지 시선에 담았다분단이 있기에 북한이 있고 통일이 있다도드라지진 않지만 내용 중 일부는 자전적 흐름을 띠기도 하며롤러코스터와 같은 한반도 열차에 직접 탑승한 분단시민들에게 열차의 출구는 어디인지서로의 이름은 무엇인지를 담담히 묻고 있다이 책의 전반을 관통하며 지정학적 차원의 두 개의 한국을 규정짓는 개념은 경계이다남과 북이 상대를 신뢰하지 못하게 하는 그 힘은 1945년 8월 남과 북 사이에 경계가 그어지던 순간부터 시작되었다

1부는 분단에 대한 경계적 시선을 다루고 있다먼저 저자가 통일부 서기관 시절 상주대표로 근무했고 임기 후에는 학자로서 미완의 숙제로 받아든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문제로 시작하여 오래된 남북한 숙적관계의 특질을 다루고 있으며한반도에 숙적관계가 종식되지 못하는 구조적 요인 중의 하나로 동맹관계를 조명하고 있다2부는 북한에 대한 시선이다언론 등에 피상적으로 비추어진 북한이 아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체제적 강고함과 시장화 현상에서부터 최근 북한이 중시하는 UN의 SDGs(지속가능발전목표현황과 북한 개발협력 연구를 위한 제언에 이르기까지 분단과 통일의 대상인 북한에 대한 관심을 정치경제 그리고 국제사회의 규범적 관점에서 환기시키고 있다마지막 제3부는 통일에 대한 시선이다갈등이 아닌 공존적 관점에서 MZ세대에게 우리의 소원이 아닌 통일과 마주할 용기를 강조한다평화적 공존이 생략된 기존 통일 담론의 실효성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독일사례와 역대 정부의 대북정책 검토를 통해 점진적 남북통합모델을 도출하고 중남미 사례를 통해 남북통합과정에서 제기될 수 있는 민주주의 이행기 정의(Transitional Justice)의 과제그리고 제도적 관점에서의 지속가능한 인도주의 협력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들어가며 )

 

 

[저자 소개]

 

한기호(韓基鎬)

 

연세대학교에서 북한 개발협력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이론연구로 통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남북관계의 현장과 이론의 조화를 중시하며통일부 서기관 재임시 남북 최초의 공동연락협의기구인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운영과장으로 근무했다국립외교원 제7회 학술논문상 최우수상을 수상했으며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ESD) 한국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現 ()북한연구학회 대외협력이사이며 아주대학교 아주통일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및 저서로는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Republic of Korea: With a Case Study of Latin America,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6-1(2016), 숙적관계(rivalry) 이론의 남북한 분쟁관계 적용 가능성 검토통일연구』 20권 2(2016), 남북한 체제통합을 위한 기능주의 대북정책의 재고찰통일연구』 23권 1(2019), 지속가능한 남북한 인도주의 협력을 위한 제도적 연구법제연구』 58(2020), 북한 개발협력에 관한 연구경향과 대안이론 검토입법학연구』 117-2(2020), 한미동맹이 남북한 라이벌리(rivalry)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한국사회과학연구』 39-2(2020), 북한 내 취약계층의 SDGs 달성을 위한 남북교류협력방안 모색통일연구』 26권 1(2022), The Perpetuated Hostility in the Inter-Korean Rivalry, KOREA OBSERVER, 49-2(공저, 2018), 북한의 복지 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남북한 교류협력 방안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공저, 2020)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