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언론

언론보도

[KBS뉴스 2021.12.22] ‘베이징 올림픽 사절단’ 논의 본격화…‘보이콧’ 여론은 ‘팽팽’

  • 김흥규
  • 2021-12-28
  • 309

■ 내일(23일) 한중 외교차관 화상 대화…올림픽 사절단 구성 논의될 듯

한국과 중국 외교차관이 내일(23일) 화상으로 만납니다.

외교부 최영삼 대변인은 어제(21일) 정례브리핑에서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23일 오후 러위청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제9차 한·중 외교차관 전략대화'를 화상회담 형식으로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내일(23일) 회의에선 한·중 화상 정상회담 개최나 베이징 올림픽 사절단 구성에 관한 논의가 진행될 가능성이 큽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중 양국 정부는 양국의 고위 인사 교류가 양국 관계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며 "이런 공감대 위에서 (이번 전략 대화에서) 고위급 인사 교류를 포함한 한중 관계 전반에 대한 의견 교환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 靑 "아직 결정된 건 없어…외교차관 회의에서 건설적 논의 있길"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오늘(22일) 기자들과 만나, '베이징 올림픽 사절단이 정해졌느냐'는 질문에 "베이징 올림픽 관련해선 논의되는 것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내일 한중 외교 차관 회의에서 건설적인 논의가 있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국은 현지시간 6일, 내년 2월에 열리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공식화했습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바이든 정부는 신장에서의 지속적인 종족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기타 인권 유린을 감안해 베이징 올림픽에 어떤 외교적, 공식적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의 이 같은 결정에, 미국의 우방국인 영국과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도 동참 결정을 밝혔습니다.

 

■ '외교적 보이콧' 선 그은 정부…사절단 인선과 규모에 관심


한국의 외교적 보이콧 참여 여부에도 관심이 쏠렸는데,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3일, "한국 정부는 보이콧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문 대통령은 호주 국빈 방문 중 진행한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국을 비롯한 어느 나라로부터도 (보이콧에) 참가하라는 권유를 받은 바 없다"며 이런 입장을 밝혔는데요.

문 대통령은 "한미동맹이 외교와 안보의 근간이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중국과의 관계도 매우 중요하고, 특히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도 중국의 건설적 노력이 요구된다"며 '외교적 보이콧'에 선을 그은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청와대 박수현 국민소통수석도 지난 15일 라디오에 출연해 "직전 평창 동계 올림픽 개최국으로서 내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각별한 관심을 갖는 것은 도리이자 의무"라며, "미국도 직전 개최국이라는 우리의 위치를 잘 이해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중 갈등이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을 계기로 격화하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직전 올림픽 개최국이었다는 점, 그리고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보이콧 동참엔 거리를 두는 모습입니다.

당초 문재인 대통령의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참석까지 거론이 됐었는데, 실제로 올림픽 사절단에 누구를 포함해 어떤 규모로 보낼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 KBS 여론조사…응답자 48% "보이콧 필요없어" 찬반 팽팽


그렇다면 우리 국민들은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여론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우선 전체 응답자의 48%는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이 필요 없다"고 답했습니다. 필요하다는 응답은 43.2%, '모름/무응답'은 8.8%였습니다.

과반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거의 절반 가까운 응답자가 미국으로부터 시작된 '외교적 보이콧'에 참여할 필요가 없다고 응답한 겁니다.

김흥규 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장은 조사 결과와 관련해 "예상 보다 많은 분들이 우리 외교가 처한 어려운 현실 상황을 잘 인식하고 있고, 그리고 상대적으로 균형적인 감각을 유지하고자 하는 그런 인식을 가지고 있는 걸 보여주는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소장은 "인권을 중시하는 미국의 입장에 공감은 가더라도, 실제로 외교적 보이콧을 실행해 중국과 적대 관계로 돌변했을 때 그것이 가져올 비용의 문제도 크기 때문에, 전면 보이콧도 아니라 외교적 보이콧을 마찰을 일으키면서 해야 하느냐는 인식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 진보 진영 '올림픽 보이콧 반대' 목소리 높아


정치 성향 별로 살펴보면, 진보 성향의 응답자는 67.4%가 "보이콧이 필요 없다"고 답했고, 28.8%만 "보이콧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중도 성향의 응답자의 경우, 보이콧 반대 48.8%, 보이콧 찬성 43.9%로 팽팽했는데, 보이콧 반대 목소리가 조금 더 높았습니다.

보수 성향의 응답자들은, 보이콧 찬성 57.9%, 보이콧 반대 34.2%로, 보이콧을 해야한다는 쪽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 10~20대는 '보이콧 찬성' 여론 우세


연령 별로 보면, 18세부터 29세까지의 응답자들은 과반이 넘는 53.1%가 외교적 보이콧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는 36% 수준으로 찬성 여론이 우세했습니다.

40대의 경우 61.6%가 '보이콧 반대'의 손을 들어줘, 10대, 20대와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는 10대와 20대를 중심으로 번지는 '반중 정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시사인이 지난 5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연령 별로 중국인에 대한 감정 온도는 20대가 나머지 세대에 비해 확연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0을 매우 부정적, 100을 매우 긍정적으로 봤을 때, 20대는 15.9, 30대는 21.8, 40대는 28.3, 50대는 30.8, 60대 이상은 31.1로 나타났습니다. 20대는 평균인 26.4보다도 훨씬 낮은 걸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은 중국 공산당이나 중국 제품, 중국의 문화유산, 중국 음식까지 대부분 부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당시 하남석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교수는 자신의 저서 '차이나붐' 등에서 젊은 세대의 반중 정서가 대학의 중국인 유학생 증가, 2019년 홍콩의 민주화 운동 등으로 커졌다고 분석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