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학술] [학술회의 2016.11.17] 제3회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한-중 정책학술회의

  • 중국정책연구소
  • 김흥규
  • 작성일 2016-11-08
  • 조회수 2401

2016년 11월 17일(목)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는 아주대학교 다산관 지하대강당에서 제3회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한-중 정책학술회의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3회 한-중 정책학술회의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해양과학기술원-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공동주최

 

일시: 20161117() 9:30~18:30

장소: 아주대학교 다산관 대강당(지하 1층)

후원: 중앙일보 중국연구소, 동아일보 중국의 창

주제: 5차 북핵 실험이후 한반도 안보외교환경과 한중 관계

 

초청의 글

 

세계적인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세력전이와 변혁의 흐름으로 말미암아 동북아와 한반도의 외교안보 환경은 큰 불확실성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 들어가고 있습니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1616일 제4, 99일에는 제5차 핵실험을 단행하였고, 탄도 미사일 개발을 위한 실험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제 한국을 포함한 미국, 중국, 북한 등 동북아 각국은 모두 각각의 명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대단히 중요한 전략적 선택의 갈림길에 놓여 있는 것 같습니다.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는 지난 2014년 창립한 이후 2014년에 9월 제1회 회의를 개최한 데 이어, 2016[2016년 변혁중인 동북아와 한중 관계]란 주제로 제2회 한-중 정책학술회의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는 1117일 한국 국제정치학회와 더불어 공동 주최하면서, 5차 북핵 실험이후 한반도 안보외교환경과 한중 관계를 주제로 하여 한중 학계와 정책 전문가들을 모시고 지혜를 나눌 까 합니다.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가 개최하는 한-중 정책학술회의는 그간 국내외적으로 많은 분들의 관심 속에 한국내 [THAAD 배치] [한중동맹론] 논쟁의 시발점을 제공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북한의 핵전략과 대남전략, 북한 핵무장의 고도화에 직면한 한중의 대응방안 및 한중 협력방향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이번 회의에서 THAAD 한국 배치문제, 한국의 핵무장, 북중 관계의 재조정 여부, 한중 해상경계획정 문제 등이 아울러 다뤄질 것입니다. 이러한 주제들을 논의하기 위해 한국은 물론이고 중국 측에서 이 분야 최고 수준의 전문가 분들을 모시고 양국 모두에 의미 있는 회의를 개최하려 합니다. 회의는 미디어와 일반에 대해서도 추후 공개를 원칙으로 하나, 당일에는 회의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에 초청된 분들이나 신청한 분들에 한해 참여를 허용할 예정입니다.

길은 멀고, 공사가 다망(多忙)하시겠지만 부디 참석해 주시기를 청합니다. 한중 관계는 물론이고 이 지역의 미래를 위해 좋은 생각들과 제언들을 나누었으면 합니다.

 

김 흥 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소장

 

프로그램 목차

 

 

한중정책 학술회의 축하와 소개 동영상 (9:00~9:30)

 

개회사(9:30~9:40)

김동연 아주대 총장

 

축사(9:40~10:00)

최영종 국제정치학회장(카톨릭대 교수)

한우덕 중앙일보 중국연구소 소장

 

기조강연(10:00~10:30):

박진 국회외교통상위 위원장, 한국의 외교안보 전략 방향

양시위 중국외교부 한반도 판공실 주임, 중국외교와 사드, 대한반도 정책

 

참석자 사진촬영

 

1세션(10:40~12:10): 김정은 정권의 핵전략 및 대한반도 정책

사회: 정세현 통일부 장관

정지용 중국 복단대 조선한국연구센터 소장, 북한의 핵개발과 미중전략의 이해

우펑 중국 서남대 정치 및 공공관리학원 교수, 북한의 대한국 및 통일전략

박형중 통일연구원 인권센터 소장, 북핵문제에 관한 최근 한미의 정책 동향 그리고 평

가 및 전망

황지환 서울시립대 교수, 김정은 정권의 대남전략과 통일문제

 

점심(12:10~13:30)

 

2세션(13:30~15:10): 한국 대북한 정책과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사회: 문흥호 한양대 중국연구소 소장

공커위 중국 상해국제문제연구원 아태부 주임, 한국 THAAD 배치 및 핵무장 가능성에

 대한 중국의 인식 및 대응방안

리카이셩 중국 상해사회과학원 국제문제연구소 전문연구위원, 북핵문제와 중국의 한반

도정책

마상윤 외교부 정책기획관, 한국의 대북정책과 한중관계

차두현 통일연구원 객원연구위원, “한국의 대북정책과 전망”

 

커피 브레이크(15:10~15:30)

 

3세션(15:30~17:10): 한중 협력의 새로운 방향

사회: 신정승 주중대사

뤼루이(Lu Rui) 중국 동제대 해양연구소 부소장, 한중 해양경계획정: 중국측 입장

쉐샤오펑 중국 대련외국어대 동북아연구소 소장 한중 동북아 지역 내 일대일로 협력

        방안

양희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 소장, 한중 해양경계획정: 한국 측 입장

이왕휘 아주대 교수, 한중 경제협력의 방향

 

Wrap Up 세션(17:10~18:00): 평가와 제언

사회: 김흥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소장

양시위 중국외교부 한반도 판공실 주임

신상진 광운대 교수

공커위 중국 상해국제문제연구원 아태부 주임

유상철 중앙일보 논설위원

 

저녁(18:30~21:00)

 

[토론자 명단]

김예경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김진호 단국대 교수

김창수 국방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남기정 서울대 교수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동북아연구실장

이수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이창열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임연구위원

이영학 국방연구원 선임연구원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소장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

 

[매체 참석자 명단]

안용현 조선일보 외교안보 팀장

한우덕 중앙일보 중국연구소 소장

하종대 동아일보 디지털 통합뉴스 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