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PI 자료실

[2015.02.17] 중국 문제 연구 미국 싱크탱크

  • 김흥규
  • 2015-11-23
  • 1708

l Brookings Institution 브루킹스 연구소 - John L. THORNTON CHINA CENTER

http://www.brookings.edu/about/centers/china

1916년에 설립된 미국 사회과학연구소. 오바마 정부 출범 급부상한 싱크탱크로, 보수성향의 헤리티지재단과 쌍벽을 이루는 진보성향의 단체

중국 전문가 :Jeffrey A. Bader, Richard C. Bush III, Thomas J. Christensen, David Dollar, Charles W. Freeman III, Cheng Li, Kenneth G. Lieberthal, Barry J. Naughton, Evan Osnos, Jonathan D. Pollack, David Shambaugh, Rachel Stern, Wing Thye Woo, Daniel B. Wright, Lan Xue, Qi Ye

 

l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CFR) 외교 협회 :

 http://www.cfr.org/search/?Ntt=china

미국의 초당파적, 비영리 멤버쉽 기관으로서 미국의 외교 정책 국제관계와 세계의 이슈를 다루고 있으며 가장 영향력 있는 씽크탱크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기관은 1921년에 뉴욕을 본부로 하여 창설되었으며 ‘Foreign Affairs’란 저널을 격월로 발행하고 있다

중국 전문가 : Robert D. Blackwill, Benjamin Brake, Karen Brooks, Jerome A. Cohen, Elizabeth C. Economy, Jennifer M. Harris, Yanzhong Huang, Joshua Kurlantzick, Adam Segal, Matthew J. Slaughter, Benn Steil

 

l the HERITAGE FOUNDATION 헤리티지 재단 :

http://www.heritage.org/places/asia-and-the-pacific/china

정치•경제•외교•안보 등과 관련한 정책을 연구하는 미국의 보수주의 성향 연구재단

중국 전문가 : Dean Cheng, Mike Gonzalez, Lee Edward, Nick Zahn, Peter Brookes, James Jay Carafano, Edwin J. Feulner

 

l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AEI) 미국기업연구소:

https://www.aei.org/author/michael-mazza/

미국기업연구소(AEI)는 미국 부시행정부 내에서 네오콘, 즉 신보수주의자들의 이론적인 근거지라 있는 곳. 1943년 기업들의 이익을 정책적으로 대변하기 위해 미국기업협회라는 이름으로 출범. '정부 역할의 축소'와 '자유 시장의 옹호'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곳의 대북 정책 선임연구원인 니컬러스 에버슈타트는 북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하며 북한의 체제 교체론을 주장하여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중국 전문가 : Derek M. Scissors, Michael Mazza, J. Bruce Jacobs, Joseph Lin, Michael Auslin, Alex Coblin, Michael Rubin, Benjamin Zycher, Paul Wolfowitz

 

l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국제전략문제연구소 : http://csis.org/search/google?cx=006046696219301290917%3A23rjzx7mdwy&cof=FORID%3A11&query=china&op=Search&form_id=google_cse_searchbox_form

국제 전략적인 이슈를 연구하는 싱크 탱크. 국제안보, 정치, 경제 경영에 관한 정책을 초당적인 입장(중도보수)에서 시의적절하게 건의하는 것으로 이름이 높다.

중국 전문가 : Jie Bai, Edward C. Chow, Ralph A. Cossa, Mike Faunda, Bonnie S. Glaser, Michael J. Green, Ji-Jen Hwang, Christopher K. Johnson, Scott Kennedy, Sung Jin Kim, Sarah O. Ladislaw, Xuelian Li, Vincent Manzo, Adam B. Mausner, Jane Nakano, Amy Jean Studdart, Denise E. Zheng, Yun Zhang

 

l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 카네기국제평화기금 http://carnegieendowment.org/regions/?fa=251

1910년 국가간 협력과 국제질서에 대한 미국의 능동적 참여를 증진할 목적으로 설립됐다. 워싱턴에 본부를, 브뤼셀에 유럽 센터를 두고 있으며 모스크바, 베이징, 베이루트에도 사무소를 갖고 있다. 마이클 스웨인을 필두로 대단히 중요한 중국 관련 연구를 진행 이다.

중국 전문가 : Chen Qi, Toby Dalton, Evan A. Feigenbaum, Alexander Gabuev, rançois Godement, Deborah Gordon, Paul Haenle, John L. Holden, Yukon Huang, Duyeon Kim, Li Bin, Carole Nakhle, Vikram Nehru, William Norris, Douglas H. Paal, Michael Pettis, Shi Zhiqin, Sun Xuefeng, Michael Swaine, Wang Tao, Tong Zhao

 

l RAND Corporation 랜드 연구소 :

http://www.rand.org/topics/china.html

미국의 민간연구소로 미국의 국방ㆍ행정 분야의 대표적인 우파 두뇌집단이며 독립적인 비영리 연구기관. ‘싱크탱크(think tank)’라 불린 단체이기도 하다. 그동안 실증적 분석을 토대로 국방 분야의 각종 정책보고서로 주목을 받아왔다. 랜드연구소에 연구 과제를 의뢰하는 대표적인 단체는 미국 정부이다. 미 공군으로부터 미국ㆍ소련 냉전시대 안보관련 연구프로젝트를 많이 의뢰받아 분야를 주요 목표로 연구해왔기에 정치ㆍ군사적 측면에서 미국의 국익을 가장 대변한다는 평을 듣는다. 특히 아시아 지역을 활발히 연구하는데, 한반도 지정학적 요소에서부터 군사적 측면, 그리고 통일 전망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도 권위를 인정받는다.

중국 전문가 : Michael S. Chase, Cortez A. Cooper, Mark R. Cozad,Keith Crane, Jeffrey G. Engstrom, David R. Frelinger, Cristina Garafola, Keith Gierlack, Brian Gordon, John Gordon IV,Jeff Hagen, Dan Han,Scott Warren Harold, Timothy Ray Heath, Eric Heginbotham, Jacob Heim, Bonny Lin, Michael J. Lostumbo, Thomas L. McNaugher, Lyle J. Morris, William H. Overholt, Andrew Scobell, 

 

l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 우드로윌슨센터 :

http://www.wilsoncenter.org/region/china-mainland

1968년 미국 의회가 윌슨 대통령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된 연구소이다. 외교, 안보, 냉전사 등의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연구소는 미국 워싱턴에 있다. 북중관계에 집중하는 연구소

 

l 윌슨 센터의 다국적 냉전사 연구 :

http://wwics.si.edu/index.cfm?fuseaction=topics.home&topic_id=1409

사이트는 미국의 수도 워싱턴에 소재를 윌슨센터(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가 설치한 것이다. 이 연구소는 공산권 국가들의 냉전 시기와 관련된 문서들을 영어로 번역하여 미국 학계에 소개하는 '다국적 냉전사 연구 기획'(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의 일환으로 '다국적 냉전사 연구 기획보고서'(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Bulletin)와 '연구보고서'(Working Papers)를 출간하고 있다. 이 자료들은 냉전 시기의 공산권 국가들의 대내외 정책들에 관한 1차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에 의한 심도 깊은 분석까지 곁들여져 있기 때문에 냉전사를 연구하는 매우 중요하다. 이 자료들은 모두 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하다.

중국 전문가 : Charles K. Armstrong、Anne-Marie Brady、John Bryson、Nicola Casarini、Robert Daly、Enrico Fardella、Kelly Sims Gallagher、He Fan、Jia Qingguo、Wenran Jiang、Ma Jun、Abraham Kim、Bo Kong

 

l Pew Research Center :

http://www.pewresearch.org/topics/china/pages/6/

서베이, 인터뷰, 통계데이터 자료들이 많다.

 

l Nautilus Institute 노틸러스 연구소 :

http://nautilus.org/publications/books/nuclear-briefing/countries/china/

1992년에 설립되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부를 두고, 서울에도 지부가 있는 국제 평화, 안보와 환경, 에너지 등의 연구를 하고 있다. 주로 환경 에너지 안보와 핵안보에 대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어 그와 관련된 분쟁의 분석하고 예측하는데 도움이 자료들을 찾아볼 있다. 

 

l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CAP) 미국진보센터 : https://www.americanprogress.org/issues/china/view/

오바마 대통령 당선 진보진영의 핵심 싱크탱크로 급부상한 단체. '오바마의 두뇌'라고 불리는 민주당의 싱크탱크로 중도좌파 성향을 보임。대표적 두뇌집단인 헤리티지 재단처럼 워싱턴 정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목표로 포데스타 백악관 비서실장이 주축이 돼 2003년 설립된 단체로, 1년 예산만 2,000만 달러에 달한다. 조직 규모가 방대하고 공격적 활동을 펼쳐 설립 3년 만인 2006년, 전국 300여 개의 주요 싱크탱크들 가운데 언론에 인용된 빈도 순위 10위를 기록하는 브루킹스연구소와 어깨를 나란히 정도의 위력을 발휘하는 굴지의 두뇌집단으로 성장했다.

중국 전문가 : Rudy deLeon, Brian Harding, Melanie Hart, Adam Hersh, Vikram Singh

 

Sweden

l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rch Institute (SIPRI)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 :

http://www.sipri.org/research/security/china

150년 동안 계속된 스웨덴의 평화를 기념하여 설립되었으며, 예산은 국가에서 충당하나, 운영은 독립되어있다.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문제를 과학적으로 연구함을 목적으로 하고, 연구의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에서의 자금원조는 금지되어 있다. 이사회·과학평의회, 소장을 포함한 연구원 모두 국제적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1969년 11월 제1호를 시작으로 매년 발행하고 있는데, 여기서 핵군축·군비관리·무기수출 등에 관한 문제에 중요 데이터를 제공한다.

SIPRI가 연구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는 분야는 △갈등, 분쟁방지와 지역안보 △군비, 무기생산 무기이전 △대량파괴무기, 핵확산방지, 무기억제와 군비축소 등이다.

China and global security 라는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경제 발전, 안보와 균형과 유럽이익의 영향력에 대해 전세계적으로 중국의 영향력과 역할에 대해 연구중이다.

중국 전문가 : Mathieu Duchatel, Oliver Bräuner, Phillip Schell, Zhou Hang,

 

l U.S. Department of State 국무부 :

http://www.state.gov/p/eap/ci/ch/

외교 교섭, 국제기구 대표권 행사 외교정책 주관, 미국 중앙행정기관으로 주요 업무는 외교 정책의 수립과 시행, 세계 지역•국가에 관한 정보수집, 수교 국가와의 외교•교섭, 조약이나 국제 협정에 관한 사무 등이다. 미국과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 맺은 조약, 분석보고서 전반적인 외교안보 사항을 모두 확인 있다.

 

l United States Congress 미국 의회 :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하원) : (http://search.house.gov)

United States Senate (상원) : http://www.senate.gov/general/search/search_cfm.cfm?q=china&site=default_collection&num=10&filter=0)

미국 연방 의회(United States Congress)는 미국 연방 정부의 입법부이다. 상원(United States Senate)과 하원(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의 양원(兩院)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 상원은 미국 하원과는 다르게 미국 대통령을 수반으로하는 미국 연방 행정부의 각종 동의를 하는 기관이다. 하원이 세금과 경제에 대한 권한과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인 반면 상원은 미국의 주를 대표한다. 그로 인하여 군대의 파병, 관료의 임명에 대한 동의, 외국 조약에 대한 승인등 신속을 요하는 권한은 모두 상원에게만 있다.

 

l National Committee on United States – China Relations :

https://www.ncuscr.org/

Established in 1966, the National Committee on United States-China Relations is a private, nonpartisan nonprofit organization that encourages understanding of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mong citizens of both countries. With over four decades of experience developing innovative programs at the forefront of U.S.-China relations, the National Committee focuses its exchange, educational and policy activities on politics and security, education, governance and civil society, economic cooperation, media and transnational issues, addressing these with respect to mainland China, Hong Kong, and Taiwan. Our distinguished board of directors and individual and corporate members from around the United States represent many viewpoints, but share the conviction that ongoing public outreach, face-to-face communication and forthright exchange of ideas is essential for healthy Sino-American relations.

 

 

l the National Interest :

 http://www.nationalinterest.org/search/site/china

TNI는 워싱턴에 있는 신보수주의 계열의 싱크탱크 미국이익센터(Center for the National Interest)가 발행하는 격월간지이다. 현실주의 관점에서 외교사를 분석한 잡지로 1985년 창간되었다. The National Interest는 “외교”문제에만 국한되지 않고 문화, 사회차이, 기술혁신, 역사와 종교문제등 미국의 전반적인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l the Diplomat :

http://thediplomat.com/category/china-power/

온라인 국제 뉴스 잡지로 아시아-퍼시픽 지역의 외교 전문 잡지이다. 일본에 본사를 두고 있다. 차이나 파워라는 블로그를 따로 운영하면서 미중관계 뿐만 아니라 중국의 전반적인 뉴스들을 소개하고 있다.

 

l Foreign Policy Internet Resources 포린폴리시 :

http://www.foreignpolicy.com/resources/worldwide_links.html

미국에서 발행하는 국제관계 전문 잡지인 『Foreign Policy』는 지구적 문제들에 대한 주요 사이트들을 군비, 분쟁관리, 부패, 민주화, 발전, 에너지와 자연자원, 환경, 인종분쟁, 건강, 인권, 이민, 국제경영, 국제경제, 국제법으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진보적인 관점에서 국제관계 참고자료, 국제기구, 언론방송매체, 다국적 기업, 세계 주요지역, 연구소와 비정부기구, 대학 프로그램, 미국정부기구에 대한 방대한 양의 사이트를 안내하고 있어 유용하다. 그러나 사이트에 대한 설명이 없는 것이 단점이다

 

l Foreign affairs 포린어페어스 :

http://www.foreignaffairs.com/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CFR) 외교 협회에서 ‘Foreign Affairs’란 저널을 격월로 발행하고 있다. 국제정치 ·경제문제에 대해 광범위하고도 날카로운 분석을 가한 수준 높은 잡지로 커다란 영향력을 가진다. 집필진도 국내외의 저명한 기고가들이며 충실한 편집으로도 유명하다.

 

l China Brief (the Jamestown Foundation) :

http://www.jamestown.org/chinabrief/

China Brief is a primary source of timely information and cutting-edge analysis for policy-makers, intelligence and military personnel, academics, journalists, and business leaders. It is published under the direction of Dr. Arthur Waldron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d is edited by Nathan Beauchamp-Mustafaga. In addition to its audience in the United States, China Brief is widely-read in East Asia, where articles are regularly translated and reprinted in leading newspapers, journals and websites. Through the use of indigenous sources and detailed and objective analysis, China Brief keeps U.S. public and private sector decision-makers alike informed of developments and trends in China. Writers include Senior Fellow Willy Wo-Lap Lam, Drew Thompson, Wenran Jiang, and other experts, many of whom are based in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