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PI 자료실

[2015.02.17] 중국 문제 연구 한국 싱크탱크

  • 김흥규
  • 2015-11-18
  • 2699

1.국립 외교원

http://www.knda.go.kr/knda/hmpg/kor/stac/DplmIntroList.do

下属

중국연구센터

http://www.ifans.go.kr/knda/ifans/kor/stac/ChinaRsrchList.do

중국연구센터

중국연구센터는 국제관계의 주요변수로 등장한 중국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통해 정부의 정책을 지원하고, 국내외의 중국 관련 정책 연구 네트워크를 발전시키기 위해 2010년 12월 설립되었습니다.

l  전문가 워크숍 및 간담회 개최

정기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중국전문가, 국제정치학자, 정책결정자, 언론인 등을 초청하여 중국 관련 주요 현안들에 대해 비공개 전문가 워크숍을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을 교환함. 특히, 긴급한 정책현안 발생 시에는 전문가와 정책결정자들을 초청해 소규모 비공개 간담회를 개최하여 현안 분석과 함께 대응책에 관하여 논의함.

l  국제학술회의 개최

해외 저명인사들을 초청하여 국제정치적 상황 및 한중 양국 현안에 대한 견해를 교환하고 일반 국민들의 중국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고자 매년 1회 공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함.

l  한중 전략대화 개최

중공중앙당교와 교류 및 소통을 강화하고 양국 간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자 매년 2회 전략대화를 개최함.

l  연례정세보고서 발간

매년 중국 정세 변화를 정확히 평가하고 전망하고자 정치, 경제, 외교, 군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내용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중국정세보고서를 발간함.

l  해외 조사

해외의 중국 전문가들 및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강화하고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고자 해외 조사를 진행함.

l  발간 자료

주요국제문제분석

IFANS Brief

정책연구과제

국제정세전망

외교안보연구

IFANS Review

IFANS Focus

 

 

2.아산정책연구원

http://asaninst.org/

지역연구센터(지역연구센터는 미국, 중국, 중동, 아세안-대양주 지역을 연구하는 총 4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l  소개

중국연구프로그램은 급증하고 있는 중국연구에 대한 수요에 부응하고자 2012년 7월 출범하였으며, 현재 세계 주요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중국의 주요 정책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한•중 간의 상호 이해와 신뢰 제고를 위해 학술적•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양국 미래의 차세대 지도자 간 활발한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중국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의 중국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활발한 공론의 장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l  전문가

①김한권

연구위원, 센터장

전문분야 :

국제관계, 중국 정치, 중국 외교, 민족주의, 중국 외교정책, 북중 경협

Biography

김한권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의 지역연구센터장이다. 미국 코네티컷 주립대에서 정치학 학사와 행정학석사(MPA)를, 미국 American University에서 국제관계학 박사를 취득했다. Post-Doc과정을 중국 칭화대 (清华大)에서 마치고 (2008.03-2010.12), 칭화대의 국제전략과 발전연구소의 연구원 (2011.01-08)과 북경대 국제관계학원에서 연구학자를 지냈다 (2011.09-12). 이후 국립외교원 중국연구센터 객원교수로 재직하였다 (2012.01-06). 주요 연구분야는 중국의 외교정책과 민족주의, 그리고 북-중 경협이다. 주요 저서로는 『차이나 콤플렉스』 (공저), (아산정책연구원, 2014); “A New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Major Countries and South Korea: Historical and Strategic Implications", The Asan Forum (E-Journal), (Dec. 20, 2013); The Implications of the Chinese “String of Pearls” for the U.S. Return to Asia Policy: the U.S., China, and India in the Indian Ocean. Journal of Global Policy and Governance . Volume 2 Number 2 (2013); “중국 당・군 관계의 변화와 북・중 관계 전망: 시진핑 시대의 당・군 관계와 대북 정책,”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2년 정책연구과제 1 (2013년 2월), pp. 281-316. (ISSN: 2005-7512); “The Mult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for Tumen River Area and China’s Leadership” 『국제정치연구』, Vol. 13, no.2 (2010/12) 등이 있다

Academic Background

American University 국제관계학 박사

미국 University of Connecticut at Storrs 정치학 학사 및 행정학 석사

Professional Background

국립외교원 중국연구센터 객원교수(2012)

베이징대학교 국제관계학원 연구학자(2011)

칭화대학교 국제전략과 발전연구소 연구원(2011)

칭화대학교 국제관계학 박사후 과정(2008~2010)

 

②Cai Jian

초빙연구위원

근무기간 :

2014.09.01 ~ 2015.08.31

 

③리팅팅

초빙연구위원

전문분야 :

동아시아 정치경제, 동아시아 전후 재산 처리, 정부-기업 관계, 한국정치와 경제발전, 중국 경제개혁

근무기간 :

2014.05.19 ~ 2014.08.15

Biography

리팅팅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의 지역연구센터 연구위원이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에서 한국학, 경제학 학사와 한국학 석사를,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아시아 정치경제, 전후 재산처리, 정부-기업관계, 한국정치와 경제발전, 중국 경제개혁 등이다. 박사논문 주제는 The Making of the Postcolonial Political Economy: The Disposition of Formerly Japanese Owned Enterprises in South Korea, 1945-1960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March 2014)이며, 최근 출판물로는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inese and Japanese Business Systems in Korea, 1884-1894" (Peking University Center for Korean Studies ed., Selected Papers in Korean Studies, Vol. 22, 2013, printed in April 2014)가 있다.

Academic Background

미국 The University of Chicago 역사학 박사

중국 베이징대학교 한국학/경제학 학사 및 한국학 석사

 

 

3. 국가안보전략연구소

http://www.inss.kr/contents/publications_yc.htm

l  간행물

< The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국재문재연구>

<연구총서· 정세전망>

국제정세, 안보환경, 남북문제, 중요국가의 외교정책과 국가전략 등 외교안보 분야에 관한 논문

 

 

4. 동아시아재단

http://www.keaf.org/book/EAF_Policy_Debates_kr

l  연구출판

-동아시아재단 정책논쟁-

동아시아재단 정책논쟁은 한국의 대내외 정책 현안을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여 한국과 세계를 연결하는 토론의 공간입니다.

동아시아재단 정책논쟁은 한국의 대내외 정책 현안을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분석하고 전략적 논쟁을 활성화 하여 정책에 대한 지적 소통과 해결 능력을 재고하기 위한 토론의 공간이다. 한국의 국가이익 및 전략과 연동되는 동아시아의 핵심문제들도 다룸으로써 한국의 저책이 갖는 국제적인 성격을 함께 고민하게 될 것이다. 지식과 경륜을 갖춘 각계의 전문가들이 한국사회의 내면을 색다른 시각에서 이해하고 탐색해 보는 흐미로운 지적 네트워크를 지향한다.

-글로벌아시아-

글로벌아시아는 아시아의 관점에서 국제 이슈를 다루는 영문 계간지로서 인쇄판, 타블렛, 온라인 버전으로 발행됩니다.

-연구프로젝트-

동아시아재단 연구프로젝트 프로그램은 국내외 학자나 기관들의 동아시아 관련 연구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5.일민국제관계 연구원

http://www.iiri.or.kr/

l  출판

-국제관계연구-

편집위원

>발행인

• 김성한 (일민국제관계연구원장 대행, 고려대 교수)

>편집고문

• 한승주 (일민국제관계연구원 고문, 고려대 명예교수)

편집위원

구본학(한림국제대학원대) | 김도태(충북대) | 모종린(연세대) | 박노형(고려대) | 박철희(서울대) | 엄상윤(세종연구소) | 유현석(경희대) | 윤덕민(국립외교원) | 이근(서울대) | 이내영(고려대) | 이동선(고려대) | 이성봉(부경대) | 이신화(고려대) | 이재승(고려대) | 이정민(연세대) | 이정훈(연세대) | 장훈(중앙대) | 정서용(고려대) | 최대석(이화여대) | 최태욱(한림국제대학원대) | 함성득(고려대) | 현인택(고려대) | 홍규덕(숙명여대)

Amitav Acharya (University of Bristol, U.K)

David C. Ka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A.) | Dingli Shen (Fudan University, China)

Gilbert Rozman (Princeton University, U.S.A.) | Katharine H.S. Moon (Wellesley College, U.S.A.)

Lai To Le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apore) | Masao Okonogi (Keio University, Japan)

Miranda Schreurs (Free University of Berlin , Germany) | Samuel S. Kim (Columbia University, U.S.A.)

Scott Alexander Snyder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U.S.A.) | Victor Cha (Georgetown University, U.S.A.)

Yoshihide Soeya (Keio University, Japan)

>편집총괄

• 정성윤 (일민국제관계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연구교수)

>편집간사

• 하경석 (일민국제관계연구원 기획출판팀장/책임연구원)

6.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중국연구센터

http://www.asiaticresearch.org/index.php?mid=a_02_02

l  소개

아연 중국연구센터는 아연의 오랜 중국 연구와 공산권 연구의 전통을 계승하고,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학제간 통섭을 통해 중국 및 그와 관련된 각 분야를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중국학 연구의 발전에 이바지하게 위해 설치되었다. 중국연구센터는 중국에 관한 새로운 연구 테마들의 지속적인 발굴, 각종 학술모임의 개최, 국내외 연구 네트워크의 구축, 공동 연구 프로젝트의 진행 등을 통해 심화된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연구자들의 활발한 학술 교류에 기여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세계적 수준의 중국 연구의 허브를 지향한다.

l  중국연구센터의 조직

 

[센터장]

이정남

[정치-경제연구실]

책임자: 이정남

[역사-사회연구실]

책임자: 박상수

[사상-문화연구실]

책임자: 이정환

[대외협력실]

책임자: 신현승

[자문위원]

서진영(고려대 명예교수, 한중전문가공동연구위원회 위원장), 
김익수(고려대 경영학과 교수), 
지아칭궈(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 교수), 
리징펑(베이징대 정부관리학원 교수), 
좌오촨성(American University 교수), 
진찬롱(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 
선딩리(상하이 푸단대, 국제정치), 
김태승(아주대), 유장근(경남대), 
노기식(동북아역사재단), 유용태(서울대)

[객원교수 및 연구위원]

주장환(한신대, 정치학), 김재관(전남대, 정치학), 
하도형(국방대, 정치학), 김흥규(성신여대, 정치학), 
김영진(국민대, 정치학), 김애경(명지대, 정치학), 
정주연(고려대, 정치학), 차재복(동북아역사재단), 
김민수(인천대, 경제학), 이상국(국방연구원, 정치학), 
이기현(통일연구원, 정치학), 주펑(북경대 국제관계학원, 정치학),
황다후이(인민대 국제관계학원, 정치학), 
야오하이텐(사회과학원 일본학연구소, 경제학), 
런샤오(상하이 푸단대, 정치학), 뉴린제(산동대, 중국문화), 
피아오젠이(중국사회과학워 아태연구소, 정치학), 
펑종차오(중국 칭화대, 행정학), 
마바오청(중국국가행정대학원, 행정학), 
야오환칭(중국인민대학교, 법학), 
송위에홍(중국사회과학원당대사연구소, 중국정치), 
김승욱(서울시립대), 김수영(국민대), 정문상(경원대), 
박장배(동북아역사재단), 이욱연(서강대), 윤휘탁(한경대), 
김지환(인천대)

[연구패널]

정치개혁과 민주주의(Political Reform and Democracy)
중국의 외교안보(Foreign Policy & Security)
중국의 도시(Urban China) 연구 
냉전 연구(Cold War Studies)
중국국가(Chinese State): "國家" 성립/운용의 사상적 토대

l  중국연구센터의 학술활동

1) 정치개혁과 민주주의(Political Reform and Democracy)

중국에서 정치개혁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 민주주의 중국의 등장 가능성

을 탐색한다. 특히 중국에서 수용되고 있는 '민주주의'의 의미를 탐구하고 민

주주의 중국적 변용의 가능성과 미래를 조망한다.

연구진

- 책임자: 이정남(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 패널연구위원: 김재관(전남대교수), 신봉수(고려대 중국학연구소 연구교수), 주장환(한신대교수), 하도형(국방대 교수), 이동영(인천대 중국연구소 연구교수), 김수환(인천대중국연구소 연구교수), 정해용(신라대 교수), 김애경(명지대학 교수), 이상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이기현(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이영학(외교부 동북아 2과 연구원), 류은하(한신대 강사)

진행 중인 과제

-중국의 정치변화와 민주주의 구상: 비교 역사적 담론분석과 실증조사를 통한 접근

: 2010.3-2012.2 (포스코청암재단)

-중국 공산당과 정치변화

 

2) 중국의 외교안보(Foreign Policy & Security)

중국의 외교정책과 안보정책, 동북아정책과 중?미관계, 한?중관계 등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새로운 동아시아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의 대외정책에 대한 연구는 세계와 동아시아 및 한반도의 평화와 발전을 이끌어 내는 데 핵심적인 변수이기 때문이다. 외교안보 패녈의 운영은 정치경제실이 중심이 되어 운영한다.

연구진

책임자: 이정남(아세아문제연구소 교수)

김애경(명지대학 교수), 이영학(외교부 동북아2과 연구위원), 이기현(통일연구원), 하도형(국방대 교수), 이상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진행 중인 과제

-시진핑시대의 중국의 대외정책

: 2011.5.16-2011.11.30 (동북아역사재단, 단행본 출간)

 

3) 중국의 도시(Urban China) 연구

지난 100여 년 간의 중국의 역사 속에서 도시와 도시 주민들이 수행해온 역할에 주목한다. 새로운 정치형태와 담론의 온상으로서의 도시, 도시의 시민사회와 문화, 국내 이주민, 도시 노동자, 도시사회와 국가 통제, 그리고 최근의 재도시화(reurbanization)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국의 역사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연구진

책임자: 박상수(고려대 사학과 교수, 아세아문제연구소 부소장)

신현승(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 김지환(인천대중국학연구소 교수),김희신(인천대 중국학연구소 연구교수), 강내영(광운대 중국학과 박사후연구원)

 

4) 냉전 연구(Cold War Studies)

아연이 수행해 온 공산권 연구의 전통을 이어, 20세기 중?후반의 냉전이 초래한 동아시아 역내의 변화와 영향을 역사학과 정치학의 학제간 탐구를 통해 접근한다. 최근 새롭게 공개되고 있는 중국의 정치, 외교, 사회 분야의 아카이브스의 발굴과 축적에 주력한다.

연구진

책임자: 박상수(고려대 사학과 교수, 아세아문제연구소 부소장)

 

5) 중국 국가(Chinese State): "國家" 성립?운용의 사상적 토대

역사적으로 중국의 국가는 체제 및 운용, 그것을 지탱하는 사상, 자기 정체성에서 끊임없이 변화하였다. 이와 함께 국가 구성원으로서의 "國民"에 대한 이해 및 국가와 국민의 관계 방식도 변화해 왔다. 중국국가연구 패널에서는 중국 '국가'의 문제를 철학적?사상사적?문화사적 맥락에서 탐구한다.

연구진

패널책임자: 이정환(아세아문제연구소 HK연구교수), 신현승(아세아문제연구소 HK연구교수)

         

 

l  중국연구센터의 활동내용

1. 학술활동

1) 硏討會(Seminar and Roundtable)

센타가 설정한 중장기 집중 탐구 주제의 범위에서, 관련분야의 전문가가 연구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한다. 정치, 경제, 역사, 사회, 사상 등 분야별로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패널을 구성하고, 각 패널이 중심이 되어 연토회(세미나)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관련 분야의 시사쟁점, 연구 동향의 이해와 새로운 연구 주제의 개발 등을 수행한다. 정치개혁과 민주주의(Political Reform and Democracy), 중국의 외교안보(Foreign Policy & Security), 중국의 도시(Urban China) 연구, 중국국가(Chinese State), 냉전 연구(Cold War Studies) 등 5개의 페널에서 연토회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2) 워크숍(Workshop)

중국 관련 각종 주제를 다양하게 접근하기 위하여, 국내외 중국 및 동북아 관련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관련 연구분야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한다. 교내의 다양한 학과의 중국관련 전공 교수님들과 대학원생과 학부생, 그리고 학외의 중국 전문가와 중국문제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도 참여 가능한 형식으로 진행한다. 이를 통해 아연의 중국연구의 성과를 다양한 전문가와 대중들에게 전파하고 공유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3) 학술회의(Conference)

센타 연구성과의 발표 및 역사적•시사적 이슈들에 대한 연구 토론의 장으로 연 1회 이상의 국내 학술회의 또는 국제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4) 한중포럼(Korea-China Forum)

아연 중국 센터가 중국의 주요 연구기관과 정례화된 학술교류를 진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동아시아 평화와 발전 및 한중관계의 발전방향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모색하고, 동시에 한?중의 연구자를 연결하는 광범한 연구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2. 대외협력 및 네트워킹(Cooperation and Networking)

해외와 국내의 중국학 관련 학자, 학내의 중국 관련 학과의 학자들을 아연의 각종 연구 및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아연 중국연구센타가 중국연구의 허브역할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확보한다. 이를 위해 센터내에 다음과 같은 제도를 만든다.

- 자문위원 위촉: 국내?외의 전문가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하여 센터의 활동과 나아갈 방향에 대한 지혜를 모을 수 있도록 한다.

- 객원교수: 국내?외 중국 및 동북아관련 전문가를 중국센터의 객원교수로 활동하도록 함으로써 센타의 외연을 확대한다.

- 연구보조원: 석?박사과정 학문 후속세대를 프로젝트 및 각종 활동에 참여시킨다.

 

3. 출판(Publication)

- 연구총서 기획 및 발간 :센터 내의 연구 성과물을 취합하여 기존의 중국연구총서의 연장선에서 중국연구총서 시리즈로 발행한다.

 

 

7. 성균관대학교 현대중국연구소

http://www.skkucri.ac.kr/

l  연구소의 비전 및 목표

 

 

l  단계별 중장기 연구목표 및 성과

 

l  연구소 운영 계획

l  연구과제 수행 계획

 

 

l  조직도

 

8. 통일연구원

http://www.kinu.or.kr/

 

9. 한국국방연구원

http://www.kida.re.kr/

 

10. 세종연구소

http://www.sejong.org/

 

11. 中国人民共和国驻大韩民国大使馆

http://www.chinaemb.or.kr/kor/

 

12. 韩国 外交部 中国方面

http://www.mofa.go.kr/countries/asiapacific/countries/20110804/1_22623.jsp?menu=m_40_10_20&tmenu=m_2#contentAction

 

13. 中日韩三国合作秘书处

http://cn.tcs-asia.org/dnb/board/list.php?board_name=3_1_1_politics

 

뉴스

1.       조선일보(아시아)

http://news.chosun.com/svc/list_in/list.html?catid=41

 

2.       동아일보(중국)

http://news.donga.com/List/Inter/China

 

3.       중앙일보(중국)

http://joongang.joins.com/list/news/world/china.html?cloc=joongang|article|navi2

 

4.       서울신문(중국)

http://www.seoul.co.kr/news/newsList.php?section=china

 

5.       경향신문(중국)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list.html?code=97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