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PI 자료실

[2015.05.18] 시진핑, 모디 파격 영접 … 고향 시안에 초청해 절밥 대접 외

  • 김흥규
  • 2016-01-07
  • 1291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5/14/2015051400232.html

 

시진핑, 모디 파격 영접고향 시안에 초청해 절밥 대접

입력 2015.05.15 01:30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맞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의 의전은 파격의 연속이었다. 일주일에 한두 명 꼴로 베이징을 찾는 외국 정상을 맞아 인민대회당에서 딱딱한 공식 환영식을 펼치던 모습과는 확연한 차이가 났다.

 시 주석은 14일 베이징이 아닌 시안(西安)에서 모디 총리를 영접했다. 시 주석 가문의 고향인 샨시(陝西)성의 성도이자 정치적 고향인 곳이다. 서방 국가들에선 흔히 있는 일이지만 중국 최고지도자가 수도를 벗어나 외국 지도자를 맞이한 건 극히 이례적이다.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이 2000년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을 자신의 고향인 양저우(陽州)로 맞아들여 회담한 것이 최초였고,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이 2010년 동북 3성을 둘러보던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창춘(長春)에서 만난 정도다.

 중국 외교당국이 마련한 일정에는 세심한 배려가 눈에 띄었다. 모디 총리는 오전 병마용 관람을 마친 뒤 고찰 흥선사(興善寺)에서 점심 식사를 했다. 흥선사는 불교식 선식으로 유명한 곳이어서 채식주의자로 유명한 모디 총리를 위한 배려로 읽혔다. 장안성 성곽을 참관한 뒤 진행된 저녁 환영의식은 당나라 전통 양식에 따랐다. 두 나라의 공통 자산인 고대 문명 발상지로서의 자부심을 부각시키기 위한 이벤트였다.

 15일 베이징으로 장소를 옮긴 뒤의 요가·태극권의 합동 공연 관람 역시 내각에 요가 전담 부처를 두고 매일 요가로 신체를 단련중인 모디 총리를 위한 배려다. 한걸음 더 나아가 중국은 태극권과 요가가 상호 영향을 주고 받아 완성되었음을 보여주는 공연을 마련했다. 당나라 고승 현장(玄<5958>)이 인도에서 구해온 불경을 번역한 곳인 자은사 대안탑을 찾은 것과 함께 두 나라의 오랜 교류 역사를 강조하기 위해서다.

 모디 총리에 앞서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박근혜 대통령 등 많은 해외 정상들이 시안을 방문했다. 하지만 국가 주석이 현지에서 영접한 건 대단한 파격이다. 루신예(魯新也) 전 중국 외교부 예빈사장(禮賓국장)은 “모디 총리가 지난해 9월 시 주석을 고향 구자라트로 안내한 데 대한 답례”라고 말한 건 표면적인 해석이다. 최근 중국 외교는 과거의 격식에서 탈피해 다양한 의전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지난해 11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방문 때보다 더 허심탄회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항저우에서 정상회담을 고려한 적이 있다”며 “결국 중국 권력의 중심부인 중난하이(中南海)에서 달빛 아래 두 정상이 장시간 산책하며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결정됐는데 이는 대단한 파격이었다”고 말했다.

  비단길의 기점인 시안에서의 파격 의전에는 전략적 의미 담겨 있다는 분석이 유력하다. 시 주석의 최대 역점 과제인 일대일로 구상에는 인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일간 북경청년보의 정치 블로그는 “일대일로 구상은 주변국과의 윈-윈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하는 최적의 장소로 시안을 고른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철도·항만·도로 등 낙후된 인프라 건설에 매진하고 있는 모디 총리와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부분이기도 하다. 장기적으로 1조 달러(약 1100조원)의 자금이 필요한 인도의 입장에선 큰 손 중국의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다.

  나아가 미국의 () 중국 포위망 구축을 견제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두 나라의 인구를 합치면 26억으로 세계 인구의 절반에 해당한다. 미국이 호주·일본과 손잡고 동남아를 거쳐 인도에 이르는 가치동맹체를 만들어 중국을 봉쇄하려는 전략의 실행에는 인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8개월 만에 상호 방문을 성사시킨 두 정상의 밀착은 이런 구상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게 중국의 또다른 포석이다. 지난주 러시아와의 밀월 관계를 다진 시 주석은 이번엔 모디 총리를 불러들이는 전방위 외교를 펼쳤다. 이런 행보는 오는 9월로 예정된 미국 국빈방문으로 이어진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gnang.co.kr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7807437&ctg=1303

 

中·인도 '인구 26 巨大경제권' 시동

입력 : 2015.05.16

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중국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1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철도·광업·정보통신·산업단지 24 협력 문건에 서명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양국이 이날 합의한 경제협력 규모는 100억달러(약 11조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리 총리는 이날 "양국은 항공·우주에서 지진까지, 즉 하늘부터 땅까지 협력하기로 합의했다"며 "세계 양대 개발도상국인 중국과 인도의 관계 발전은 26억 인구의 복지와 관련된 문제"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는 "양국은 경제적 상호 보완성이 매우 크다"고 했다.

세계 1·2위 인구 대국인 중국과 인도의 경제 규모를 감안하면 100억달러 협력은 규모가 매우 큰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오랜 '앙숙'이던 양국이 본격적인 경제협력의 물꼬를 튼 것이라고 해석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중국과 인도는 1962년 히말라야 지역의 국경 분쟁으로 전쟁까지 치렀다. 이 때문에 중국과 인도의 지난해 교역 규모는 706억달러에 그쳤다. 한·중 교역액의 28% 수준이다. 2013년 기준 인도를 방문한 중국 관광객은 17만5000여명이다. 반면 같은 기간 한국을 찾은 중국 유커(遊客·관광객)는 430만명에 달했다. 인구 13억6000만 중국과 12억4000만 인도의 교류치고는 저조한 성적표다.

60 넘게 냉랭했던 양국 관계는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모디 총리가 집권하면서 온기가 돌기 시작했다. 모디 총리는 구자라트 주지사 시절 "중국 경제를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값싼 노동력을 활용하는 개혁·개방 초기의 '중국 모델'을 구자라트주에 적용해 연 10% 경제성장을 이뤘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모디는 역대 인도 총리 중 가장 친중(親中)적 인물"이라며 "이번 방중을 통해 양국은 국경 문제 등으로 껄끄러웠던 관계를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양국 총리는 "국경 등 민감한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자"고 합의했다. 국경 분쟁이 경제협력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관리하자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중국과 인도는 정치·경제적으로 서로가 필요하다. 성장 엔진이 꺼져가는 중국은 세계 최대 시장으로 떠오른 인도를 잡아야 한다. 장기적으로 1조달러(약 1100조원)의 개발 자금이 필요한 인도는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의 투자가 절실하다. 시 주석은 지난 9월 "세계의 공장(중국)과 세계의 사무실(인도)이 힘을 합치면 경쟁력 있는 생산 기지와 소비 시장이 될 수 있다"고 했었다. 중국과 인도가 '인구 26억 경제권'을 가동할 경우, 시 주석 말대로 "세계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두 개의 엔진"이 탄생하는 것이란 분석이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5/16/2015051600158.html

 

中·日 러브콜 보내는데 印度 가는 길에 한국만 제자리걸음

입력 : 2015.05.18 03:00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방중(訪中) 마지막 날인 16일 상하이에서 중국·인도 기업 간 220억달러(약 24조원) 규모의 경제 협력을 성사시키는 '세일즈 외교'를 선보였다. 양측이 협력하기로 한 분야는 신에너지·항만·금융·미디어 등 광범위하다. 모디 총리는 이날 마윈 알리바바그룹 회장, 왕젠린 완다그룹 회장 등 중국의 대표적 기업인 25명과 만나 "인도가 제공하는 절묘한 기회를 함께 나누자"고 말했다. 앞서 그는 작년 일본 방문에서 355억달러의 투자 약속을 받았다.

모디 총리의 첫 방한을 계기로 일본·중국에 비해 정상 외교 출발이 늦은 한국이 대(對)인도 외교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모디 총리는 취임 100일 무렵이던 작년 9월 일본·중국과 잇따라 정상회담을 열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끈질긴 초청을 받고 찾아간 일본에선 ▲고향 구자라트주 아흐메다바드와 뭄바이를 잇는 고속철 공사에서의 전폭 지원 ▲일본 수륙양용기 개발 기술 이전 등의 가시적 성과를 얻었다. 2주 뒤엔 중국에서 날아온 시진핑 주석과도 만나 기업 투자 외에 고속철도 기술 지원 및 투자, 전용공단 건설 등을 약속받고 8개월 만에 재회했다.

중국과 일본 정상이 앞다퉈 모디 총리와 만나겠다고 나선 까닭이 있다. 대외 정책 청사진을 실현시키기 위해 반드시 인도를 파트너로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은 유라시아를 육상으로, 동남아·아프리카를 해상으로 연결하는 신(新)실크로드 구상 '일대일로(一帶一路)'를 2013년 발표하고, '돈줄'로 세계를 묶을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실현을 위해 남아시아 패권국 인도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일본에 인도는 중국의 영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아시아의 가장 큰 방패'다. 일본은 정치·군사적으로 긴밀한 미국·호주와의 삼각협력에 인도를 포함시키는 '중국 포위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꽃놀이패'를 쥔 인도는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는 균형 외교로 최대한 실리를 챙기고 있다.

투자 대상국으로 인도의 가능성은 무한하다는 분석이다. 총인구의 50% 이상이 25세 이하인 '젊은 나라'라는 점, 제조업 시간당 평균 임금이 0.92달러로 중국(3.52달러)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한 점, 중국처럼 합작회사 설립 의무 없이 직접투자가 가능하다는 점 등이 이점이다. 삼성전자 인도법인 방현우 상무는 "수동적인 공무원들이 모디 정부 출범 후 사무실로 찾아와 세일즈에 나서는 등 신정부의 외자 적극 유치 기조가 뚜렷하다"고 했다. 모디 총리 취임 후 10개월 동안 외국인 투자는 전년 대비 255억달러(36%)가 늘었고, 주가(뭄바이 증시)는 26% 올랐다. IMF 등 주요 국제기구들은 올해 인도의 경제성장률이 7.5%로 중국(6.8%)을 너끈히 앞지를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인도에 대한 한국의 최근 13년간 투자 규모는 12억달러(450여 기업 진출)로 일본(150억달러·1200여 기업 진출)의 8%에 불과하다. 2011년 6억4900만달러이던 연간 투자액도 2013년에는 5억9400만달러로 감소하는 등 하향세다. 경제 규모 차이를 감안해도 지나치게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모디 총리는 12일 본지 인터뷰에서 "지난해 두 나라의 무역 규모는 5년 전보다 1.5배 증가한 180억달러를 기록했지만, 추가적으로 성장하고 있지 못하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한국 기업들의 활동이 위축된 것은 경기 침체에 '인도 시장은 진입 장벽이 높은 데다 현지 적응이 쉽지 않다'는 선입견 등이 복합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최동석 코트라 서남아시아지역본부장은 "시장을 철저히 분석해 성공한 국내 중소기업이 많다"고 말했다. 진일환 한국전력 인도 지사장은 "인도가 한국에 주는 시간이 많지 않다. 바로 지금이 골든 타임"이라고 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5/18/201505180016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