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gy 1. 연결지성 기반 구축 및 문화 확산
연결지성에 대한 가치관을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교과,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연결지성이 실생활에서 체화되어 문화로 정착될 수 있도록 캠퍼스 공간 등 인프라를 혁신한다.
Strategy 1. 연결지성 기반 구축 및 문화 확산 로드맵
Goal |
SDG(지속발전목표) 평가 국내 TOP10 5개 분야 진입 |
- SDG(지속발전목표) 평가 국내 TOP10 8개 분야 진입
- 연결지성 캠퍼스 공간 구현
|
- SDG(지속발전목표) 평가 국내 TOP10 11개 분야 진입
- 글로벌지식정보관 건립
|
1단계 (2019~2021)
|
2단계 (2022~2024)
|
3단계 (2025~2028)
|
대외협력 상생가치 |
지역사회 공동협력 SDG 프로그램 개발
|
지역사회 공동협력 SDG 프로그램 개발
|
외부기업 무인 전기차 프로젝트 참여
|
지자체 지원 및 협력 프로그램 확대
|
국내·외 동문회 협력 강화
|
내부추진계획 |
- 연결지성 교육목표 공유(프로그램 제공)
- 글로벌지식정보관 건립 계획 수립
- 캠퍼스 재생 사업 / 기숙사 착공
- 친환경 전기차 셔틀 운행
|
- 글로벌지식정보관 착공
- 캠퍼스 재생 사업
- 무인전기차 운행
|
- 글로벌지식정보관 완공
- 연결지성 시스템 고도화
- 지속가능 대학문화 확산
|
- 전문직군제 도입
- 新성과관리제 도입
- IR(Institutional Research) 센터 건립
- 빅데이터 기반 행정지원시스템 개발
- Paperless Office 시스템 구축
- 행정서비스 만족도 평가·환류 체계 구축
- 차세대 ICT시스템 구축
|
연결지성 행정시스템 구축
|
- 지역사회를 위한 마법센터 운영
- Connecting Hall 개관
- SDG 체계 구축
- 대학발전 기부 프로그램 재설계
|
- 지역사회 공헌 활동 확대
- 파란학기 연계형 Goods사업 시행
- SDG 체계 고도화
- 대학발전 기부금 확대
|
Strategy 2. 자기주도형 Hi-interactive 교육혁신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 기초∙교양교육 체계를 확립하고, 전공 간 경계가 없는 융복합 교육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적응형 학습 지원 시스템을 강화한다.


Strategy 2. 자기주도형 Hi-interactive 교육혁신 로드맵
Goal |
- 역량/BOK기반 교육활성화 복합 지수 86
- 학습자 참여형 상호작용 중심 교육방법 혁신 복합 지수 43
- 학생 성공 역량강화 복합 지수 85
|
- 역량/BOK 기반 교육활성화 복합 지수 108
- 학습자 참여형 상호작용 중심 교육방법 혁신 복합 지수 73
- 학생 성공 역량강화 복합지수 85
|
- 역량/BOK기반 교육활성화 복합 지수 110
- 학습자 참여형 상호작용 중심 교육방법 혁신 복합 지수 80
- 학생 성공 역량강화 복합 지수 120
|
1단계 (2019~2021)
|
2단계 (2022~2024)
|
3단계 (2025~2028)
|
대외협력 상생가치 |
고강도 상호작용 온라인 교육 도입·운영
|
자체 프로그램 개발·운영
|
산업체 연계 및 교육 협력 확대
|
지식중심교육에서 역량강화 중심교육으로 전환
|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프로젝트 개발 |
내부추진계획 |
- 교양 교과목 지속적 품질 관리 체계 개선
- 전교생 필수역량 계발을 위한 기초교육 체계 개편
- 전공 전문성 증대를 위한 교육과정 및 운여체계 혁신
- 학과 경계가 없는 융합교육 생태계 구축
- 역량/BOK기반 자율적 교육 질관리 지원체계 구축
|
- 개편된 전공 및 교양 교육과정 운영 및 고도화
- 학과 경계가 없는 융합교육 생태계 운영 및 개선
- 역량/BOK기반 자율적 교육 질관리 지원체계 운영 및 개선
|
- 역량/BOK기반 교양·전공·융복합 교육과정 정립
|
- 학생 수준 맞춤형 교양 교육 운영
- 공유 가능한 학생 참여형 교육 환경 구축
|
- e-Advise시스템 교과목 확대
- GOLD 적용학과 확대
|
학습자 상호작용 중심 교육방법 혁신 확산
|
- 문이과 통합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수학 및 기초과학 개편
- 학생 개별 학습 수준에 부합하는 적응형 교육환경 구축
- 재학생 진로 비전 조기 수립 및 달성을 지원하는 학생지도 체계 구축
- 외국인 학생 전공 정착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
- 문이과 통합형 고등학교 교육가정 개편에 따른 수학 및 기초과학 운영 및 고도화
- 학생 개별 학습 수분에 부합하는 적응형 교육환경 운영 및 개선
- 학생 성공을 위한 진로지도 체계와 외국인 학생 전공 정착 지원체계 운영 및 개선
|
학생 성공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약속
|
Strategy 3. High-impact 연구허브 구축
사회변화를 주도하는 세계수준의 거대 연구그룹을 육성하고, 우수 연구인력 유치를 위한 신임교원 연구비 지원 강화, 우수 교원 초빙, 대학원 특성화를 추진하며, 질적평가 기반의 연구지원 제도 및 교원 인사제도 개편, 우수연구그룹 발굴, 국제공동연구 활성화를 추진한다.
Strategy 3. High-impact 연구허브 구축 로드맵
Goal |
- 거대연구그룹
- 연구질적 성과지표(FWCI)1.5
- 세계대학평가 연구분야 300위권 진입
|
- 거대연구그룹 6개 육성
- 연구질적 성과지표(FWCI) 1.65
- 세계 대학평가 연구분야 200위권 진입
|
- 거대연구그룹 7개 육성
- 연구질적 성과지표(FWCI) 1.85
- 세계대학평가 연구분야 100위권 진입
|
1단계 (2019~2021)
|
2단계 (2022~2024)
|
3단계 (2025~2028)
|
대외협력 상생가치 |
산학공동연구 활성화
|
고부가가치 창출형 원천기술 발굴
|
사회문제해결 거대 연구과제 수행 |
국제공동연구 지원 강화
|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 |
내부추진계획 |
- 인력양성 및 국책사업 유치 확대
- 공동연구 지원체제 구축
- 종합실험동 완공
- 거대 연구그룹 5개 육성
- 대학원 특성화
- 우수 연구인력 유치
|
- 고부가가치 창출형 과제
- 지원체계 구축
- 거대 연구그룹 6개 육성
-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
- 목적지향적 우수인력 유치확대
|
- 기술사업화 고도화 체제 구축
- Open Innovation 센터 설립 및 운영
- 연구활동의 지속적 선순환 체계 구축
- 사회연계형 연구협력 체계 구축
- 우수 인구인력 채용시스템 다변화
|
Strategy 4. 산학협력 혁신 생태계 조성
산업체 특화 니즈에 맞춘 교육프로그램을 공동 개발·운영하여 사회수요에 부합하는 창의인재를 양성하고, 전략적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창출한다. 아울러, 산·학·연·관 간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자원 공유를 확대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혁신 생태계를 조성한다.


Strategy 4. 산학협력 혁신 생태계 조성
Goal |
- 산학혁신 교육과정 30개 육성
- 기술사업화 수익 35억 달성
- 글로컬 협력거점 RCC/ICC 구축 50개
|
- 산학혁신 교육과정 40개 육성
- 기술사업화 수익 80억 달성
- 글로컬 협력거점 RCC/ICC 구축 100개
|
- 산학혁신 교육과정 50개 육성
- 기술사업화 수익 200억 달성
- 글로컬 협력거점 RCC/ICC 구축 150개
|
1단계 (2019~2021)
|
2단계 (2022~2024)
|
3단계 (2025~2028)
|
대외협력 상생가치 |
- 글로벌/지역권역 산업체 협력
- 정부/지방자치단체 협력
- 권역 내 및 권역 간 대학/ 공공기간 협력
|
- 기업친화교육(先체험 後학습)
- 스마트콜라보 R/D(인력·지식·기술의 초연결)
- 글로컬 기술 가치공유
|
- 초연결사회 리더 양성
- 지역공동체로서의 책임과 역할 수행
|
내부추진계획 |
- 1인1기1작 실전적 교과 개발 및 개설
- 신산업 특화분야 교육운영
- 산업 실전형 대학원 교육 · 연구 지원
|
자기주도형 산학혁신 교육 실현
|
사회수요 맞춤형 창의인재 양성
|
- 사회수요 맞춤형 취업지원 체계 수립
- 1인1작 기반 글로컬 창업 기반 마련
- 전주기적 창업지원 인프라 구축
|
사회수요 맞춤형 취·창업지원체계 구축 |
- 산학협력 연구 클러스터 조성
- 온캠퍼스 기업협력센터 운영 활성화
- 지역산업 클러스터 연계 공동연구거점 구축
|
신산업 창출형 R&BD 클러스터 구축
|
고부가가치 창출 및 신산업 재투자 선순환체계 구축 |
- 기술사업화
- 중개연구 혁신 지원
- 중소기업
- 기술 Hub 구축
- 네트워크형
- 기술지주회사 활성화
|
개방형 혁신을 통한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
- 지역특화산업 육성/지역노동시장 확대
-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 지역혁신 정보교류/상생파트너십 실현
|
- 인프라 공유형 지역산업 활성화
- 지역사회 상생공동체 실현
|
산학연관 간 전략적 협력체계 강화 |
Strategy 5.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오픈 캠퍼스 실현
세계 속의 아주인(Global Citizen)을 양성하기 위해 전략적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거점별 파트너십을 발굴/ 확대하고, 대학을 평생교육체제로 전환하여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오픈 캠퍼스를 실현한다.
Strategy 5.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오픈 캠퍼스 실현
Goal |
- 학위과정생 외국인학생 비율 : 국내 20위
- 해외대학 평판도 국내대학 20위 진입
|
- 학위과정생 외국인학생 비율 : 국내 15위
- 해외대학 평판도 국내대학 15위권 진입
|
- 학위과정생 외국인학생 비율 :국내 10위
- 해외대학 평판도 국내대학 10위권 진입
|
1단계 (2019~2021)
|
2단계 (2022~2024)
|
3단계 (2025~2028)
|
대외협력 상생가치 |
정부/지방 자치단체 협력
|
외국정부/대학/기관 협력 |
지역사회 가치창출의 거점 대학 |
공유 가치창출의 글로컬 대표 대학 |
내부추진계획 |
- 국제교류 프로그램의 정비 및 혁신
- 전략적파트너십 확대를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내실 강화
|
- 국제화 기반 강화를 위한 인프라 강화 및 시스템 정비
- 전략적파트너십 강화
|
- 전략적 파트너십 확대
- 외국인학생 유치
- - 학부+대학원생 1,900명
- - 외국인연수생 800명
- 평생학습 체제 전환
|
- 자매결연 관련 제도 정비
- 평판도 향상을 위한 홍보전략 추진
- 국제 네트워크 현황 분석
|
세계속의 아주人 양성
- 국가별 동문 채널 강화 |
- 외국인학생 유치 채널 강화
중국 핵심지역 집중+비중국 개발
- 외국인학생을 위한 학사제도 개선
- 외국인학생 특화제도 개설
- 외국인학생 장학제도 개선
|
- 유학생 유치채널 확대
- 중국 핵심지역 유지
- 비중국 양적확대
(베트남, 미얀마, 우즈베키스탄)
- 외국인학생 유치 확대
- - 학부+대학원생 1,300명
- - 외국인연수생 400명
|
해외대학에서
교육과정 운영 (3개학과)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졸업생 재교육 설계
|
- 해외대학에서 교육과정 독립 운영
- 나노학위 과정 도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