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상세

닫기
김주후
김주후
  • 박사
  • 교육학과
 교직원
정보
  • 연구실 : 종합관 715호
  • 연구실 전화 : 1793
  • 이메일 : juhu@ajou.ac.kr
  • 연구관심분야 :
  • 홈페이지 : http://cafe.naver.com/juhu
학력
  • 1999.08 Pennsylvania State Univ 박사
경력
주요경력
● 교수,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3 - 현재
● 소장, 아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3 - 2012.9
● 센터장, 아주대학교 교육평가인증센터, 2007.3 - 2011.3
● 부교수,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3 - 2012.2
● 조교수,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3 - 2007.2
● 실장, 한국교육개발원, 학교평가연구실  2003.5 -2006.2
● 조교수,  University of Missouri -Kansas City, 교육학과 1999.8-2003.5
● 평가 컨설턴트,  Penn State University,  Schreyer Institute, 1996.9-1998.5
● 평가 컨설턴트, Roger Tory Peterson Institute, Selborn Project, 1996.9-1999.6
● 연구원,  계몽아동연구소, 1994.5-1995.3
● 기획실장, 엄마랑 놀이 아카데미, 1993.4-1994.5

수상:
● TOP 100 Educators, International Bibliographical Center, 2010
●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010, 2012
● New Faculty Teaching Scholar, University of Missouri, 2001.8
● College of Education Alumni Society Research Initiation Grant, Penn State University, 1998.12 
연구분야
진로교육: 직업 흥미/기능/가치 평가, 진로검사 개발 및 타당화
유아 및 아동 평가: 학습/학교 준비도,  유아검사 타당화
교육과정 및 평가: 학교평가, 프로그램 평가, 교육기관 평가

								
기타
아주대 근무 전 연구 실적(1997-2005)

Kim, J., Kim, S., & Maslak, M. (2005). Toward an Integrative "Educare" System: An Investigation of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in Korea.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20(1), 49-56

Kim, J., Murdock, T., Choi, D. (2005). Investigation of parents' beliefs about readiness for kindergarten: An examination of National Household Education Survey (NHES: 93).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29(2), 3-17.

Kim, J., Lee, J., & Lee, S. (2005). Understanding of education fever in Korea: A Delphi study.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2(1), 7-15  

Choi, D., Kim, J., & Hiatt, T. (2004). Effects of a cognitive-social learning model of social skills training on African-American children with low peer accept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0(2), 125-140

Arndt, W., Hietpas, T., & Kim, J. (2004). Critical characteristics of male serial murderers.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9(1), 117-131. 

김주후, 정택희, 김주아, 김승훈(2004). 시도교육청 주관 학교평가 실태분석.  
교육평가연구, 17(2), 237-257 

김주후, 이경선, Machida, S., 이영석(2004).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development.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423-447

김주후(2004). 프로그램 논리중심의 평가적용: TALENT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17(1), 1-13. 

Cho, H., Kim, J. & Choi, D. (2003)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A Scale Validation Study.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27(2), 33-42

Kim, J. & Suen, H. (2003).  Predicting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from early assessment scores: A validity generalization stud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4), 547-566.

Kim, J., Lee, Y., Suen, H., & Lee, K. (2003). A Delphi study of young children's readiness in Korea: Challenges and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schooling.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9(4), 345-355.

Amyot, C., Kim, J., Palm, R., Mills, E., & Noble, E. (2003).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ortfolio assessment of competency in a baccalaureate dental hygiene program. Journal of Dental Education, 67, 991-1002.

Choi, D., & Kim, J. (2003). Practicing social skills training for young children with low peer acceptance: A cognitive-social learning model.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1(1), 41-46.

김 주후(2003). 디자인 프로젝트의 적용과 평가: 재료역학 수업의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6, 15-21.

Yasuda, T., Lubin, B., Kim, J., & Whitlock, R. V. (2003) The Japanese version of the Multiple Affect Adjective Check List-Revised: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9, 93-109. 

Machida, S., Taylor, A., & Kim, J. (2002). The role of maternal beliefs in predicting home learning activities in Head Start families. Family Relations, 51(2), 176-184..	

성 기선 & 김 주후 (2001). 시도교육청별 교육효과 분석을 위한 탐색적 연구: 위계적 선형모형과 
군집분석의 활용. 교육행정학연구, 19, 267-289.

Kim, J. (2000).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ssessment of children and later achievement.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 211-235.

Shin, N., & Kim, J. (1999). An exploration of learner progress and drop-out i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Distance Education, 20, 81-95.

Sung, K., Kim, J., & Yawkey, T. (1997). Puerto Rican parents' understanding of thei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P.I A.G.E.T. program impacts on family involvement in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populations. Psychology in the Schools, 34, 347-353. 
논문 및 연구활동 연구활동(주요논문)
  1. [논문] 김주후, 곽승주, 전유영, Toward exploring a new path for parenting within a digital environment: an investigation of Korean fathers’ online involvement in parenting ,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 pp.1 -1 (Dec, 2022)
  2. [논문] 김주후, 정소미, 학부모의 직업가치에 따른 자녀의 진로진학활동 참여정도 및 진로진학활동 도움인식정도 분석 , 인문사회21 , Vol.13 , No.4 , pp.591 -606 (Aug, 2022)
  3. [논문] 김주후, Hoi Suen, 김주아, School evaluation policies and systems in Korea: A challenge of social validation ,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 Vol.8 , No.1 , pp.3 -28 (Jun, 2011)
  4. [논문] 김주후, Mark Baldwin,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a nature-based program: Impacts of NATURKIND program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Vol.5 , No.1 , pp.123 -138 (Mar, 2011)
  5. [논문] 김주후, 김주아,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운영 평가연구 , 교육학연구 , Vol.44 , No.4 , pp.223 -245 (Dec, 2006)
국제학술논문지
  1. [논문] 주영효, 김주후, Assessing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in Korea: An Exploratory Study on Scale Development ,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 Vol.1 , pp.3 -27 (Jun, 2024)
  2. [논문] 김주후, 곽승주, 전유영, Toward exploring a new path for parenting within a digital environment: an investigation of Korean fathers’ online involvement in parenting ,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 pp.1 -1 (Dec, 2022)
  3. [논문] 용진선, 김주후, 김평만, 박준양, 서임선, 이훈, The effects of Holy Name meditation on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d anxiety of patients with cancer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 Vol.20 , No.4 , pp.368 -376 (Aug, 2018)
  4. [논문] 김주후, Hoi Suen, 김주아, School evaluation policies and systems in Korea: A challenge of social validation ,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 Vol.8 , No.1 , pp.3 -28 (Jun, 2011)
  5. [논문] 용진선, 김주후, John Swinton, 박준양, 서임선, Effects of a spirituality training program on the spirit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ospital middle manager nurses in Korea ,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 Vol.42 , No.6 , pp.280 -288 (Jun, 2011)
  6. [논문] 용진선, 김주후, 서임선, 양영은, Examin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piritual needs scale-nurses in Korean nurses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 Vol.13 , No.3 , pp.1 -8 (Jun, 2011)
  7. [논문] 김주후, Mark Baldwin,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a nature-based program: Impacts of NATURKIND program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Vol.5 , No.1 , pp.123 -138 (Mar, 2011)
  8. [논문] 용진선, 김주후, John Swinton, 박준양, 서임선, Effects of a spirituality training program on the spiritual and psychosocial well-being of hospital middle manager nurses in Korea ,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 Vol.41 , No.12 , pp.1 -9 (Dec, 2010)
  9. [논문] 한성숙, 김용순, 안성희, 김주후,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moral sensisitivity questionnaire , NURSING ETHICS , Vol.17 , No.1 , pp.99 -105 (Jan, 2010)
  10. [논문] Mary Ann Maslak, 김주후, Andrea Sabatini McLoughlin, Educational engagement in China: A case from the Northwest ,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 Vol.30 , No.1 , pp.254 -262 (Jan, 2010)
  11. [논문] 최의순, 김주후, 정미영, 황경혜, 골다공증에 대한 인지측정도구 개발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Vol.38 , No.6 , pp.813 -821 (Dec, 2008)
  12. [논문] 용진선, 김주후, CHRISTINA M. PUCHALS, 한성숙,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acle assessing spiritual needs for Korean patients with cancer , Journal of Palliative Care , Vol.24 , No.4 , pp.240 -246 (Dec, 2008)
  13. [논문] 김주후, William Hug, 조형숙, Investig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A path analysis ,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Vol.13 , No.1 , pp.29 -42 (Aug, 2007)
  14. [논문] Hoi Suen, 김주후, ГЕНЕРАЛИЗАЦИЯ ЗНАЧЕНИЙ ВЫБОРОЧНЫХ КОЭФФИЦИЕНТОВ ВАЛИДНОСТИ ТЕСТОВЫХ РЕЗУЛЬТАТОВ , Педагогические Измерения , Vol.3 , No.2 , pp.3 -14 (Oct, 2006)
국내학술논문지
  1. [논문] 곽승주, 김주후, 전유영,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온라인(on-line) 양육참여 경험의 의미와 개선요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pp.1129 -1146 (Oct, 2024)
  2. [논문] 성정원, 김주후, 지리교과 정의적 성과와 자기 주도적 학습 준비도 간의 관계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1 , pp.133 -146 (Feb, 2024)
  3. [논문] 김주영, 김주후, 베이비부머의 노후 주거인식과 지역거주 영향요인 , 부동산연구 , No.4 , pp.21 -34 (Dec, 2023)
  4. [논문] 김병옥, 김주후,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 Globr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 Vol.13 , No.3 , pp.73 -97 (Aug, 2023)
  5. [논문] 성정원, 김주후, 지리교과의 정의적 성과 측정도구 개발 연구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31 , No.1 , pp.165 -181 (Feb, 2023)
  6. [논문] 김주후, 정소미,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involvement in career activities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in Korea: The moderating role of private tutoring ,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 Vol.9 , No.2 , pp.445 -455 (Feb, 2023)
  7. [논문] 오현정, 김주후, 일반계 고등학교 주제중심융합수업 실행의 장애요인 분석 , 교육문화연구 , Vol.28 , No.5 , pp.387 -410 (Oct, 2022)
  8. [논문] 김주후, 정소미, 학부모의 직업가치에 따른 자녀의 진로진학활동 참여정도 및 진로진학활동 도움인식정도 분석 , 인문사회21 , Vol.13 , No.4 , pp.591 -606 (Aug, 2022)
  9. [논문] 이석범, 김주후, 초등학교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유교적 가치 인식이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인문사회21 , Vol.13 , No.1 , pp.1085 -1100 (Feb, 2022)
  10. [논문] 오중열, 김주후, 교사의 학교책무성 인식을 매개로 한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협력의 관계 , 한국교육문제연구 , Vol.40 , No.1 , pp.242 -269 (Jan, 2022)
  11. [논문] 이경선, 김주후,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부모-자녀 상호작용 수준이 초등학교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보육학회지 , Vol.21 , No.3 , pp.15 -24 (Sep, 2021)
  12. [논문] 전은화, 김주후, 디자인 사고 기반 기술교과 연계 진로교육이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효과 , 진로교육연구(進路敎育硏究) , Vol.34 , No.2 , pp.93 -120 (Jun, 2021)
  13. [논문] 김병옥, 김주후, 교육직 종사자들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지속적 학습활동, 경력적응력의 구조적 관계 , 평생교육 · HRD연구 , Vol.17 , No.2 , pp.111 -134 (Apr, 2021)
  14. [논문] 윤정용, 김주후, 논리모형을 활용한 재직자학과 학습자 지원 프로그램 평가모델 개발 , 미래교육학연구 , Vol.33 , No.3 , pp.129 -151 (Dec, 2020)
  15. [논문] 전유영, 김주후, 곽승주,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온라인 양육참여 분석 , 인문사회21 , pp.1779 -1794 (Jun, 2020)
  16. [논문] 김주후, 정소미, 진로진학상담 연구 동향 -'상담’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 진로교육연구(進路敎育硏究) , Vol.32 , No.4 , pp.117 -140 (Dec, 2019)
  17. [논문] 전희정, 김주후, 전유영,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권 수준과 직무만족도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 , 열린유아교육연구 , Vol.24 , No.5 , pp.19 -40 (Oct, 2019)
  18. [논문] 정태영, 김주후, 기업 관리자의 평생교육 코칭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문제해결능력 및 대인관계능력간의 구조적 관계 , 미래교육연구 , Vol.9 , No.3 , pp.1 -25 (Jul, 2019)
  19. [논문] 김주후, 황우원, 중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유형과 학교 진로교육 목표 달성 간의 관계 , 진로교육연구(進路敎育硏究) , Vol.32 , No.2 , pp.139 -160 (Jun, 2019)
  20. [논문] 김양희, 곽승주, 김주후, 평가인증이 보육과정 구성과 어린이집 운영 자율성 제약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ㆍ보육복지연구 , Vol.23 , No.1 , pp.119 -152 (Mar, 2019)
  21. [논문] 곽주철, 김주후, 교감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 교육연구논총 , Vol.39 , No.4 , pp.57 -80 (Nov, 2018)
  22. [논문] 오중열, 김주후,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책무성과 교사협력의 관계 , 한국교육문제연구 , Vol.36 , No.3 , pp.31 -52 (Sep, 2018)
  23. [논문] 조미경, 김주후, 전유영, 유아교사가 인식한 응급상황 대처방법과 지식-실행수준 간 차이 분석 , 열린유아교육연구 , Vol.23 , No.2 , pp.221 -245 (Apr, 2018)
  24. [논문] 황우원, 김주후,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수행수준과 진로교육으로 인한 변화 사이의 관계 , 진로교육연구(進路敎育硏究) , Vol.30 , No.4 , pp.149 -167 (Dec, 2017)
  25. [논문] 윤경란, 김주후, 허난, 고호경, 드론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학 융합 자료 개발 및 적용 결과 , 초등수학교육 , Vol.20 , No.3 , pp.225 -235 (Aug, 2017)
  26. [논문] 김주후, 전유영, 곽승주, 온라인(on-line) 양육참여에 대한 영유아 어머니의 경험 탐색 , 유아교육학논집 , Vol.21 , No.2 , pp.509 -539 (Apr, 2017)
  27. [논문] 김은영, 김주후, 영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적용의 장애요인 및 개선방향 , 열린유아교육연구 , Vol.22 , No.2 , pp.211 -240 (Apr, 2017)
  28. [논문] 성정원, 김주후, 지리교과 정의적 특성 선정을 위한 델파이 연구 , 교육과정평가연구 , Vol.19 , No.3 , pp.23 -40 (Aug, 2016)
  29. [논문] 김혜숙, 김주후, 곽승주, 영아 연령 통합과 영아교사 역할 및 전문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유아교육ㆍ보육복지연구 , Vol.20 , No.2 , pp.357 -390 (Jun, 2016)
  30. [논문] 정선경, 김주후, 기업 내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HRD연구 , Vol.18 , No.1 , pp.99 -133 (Feb, 2016)
  31. [논문] 배종현, 김주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비교분석:경기도 중학교의 국어와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논총 , Vol.37 , No.1 , pp.27 -56 (Feb, 2016)
  32. [논문] 김주후, 곽승주, 전유영, 책무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유아교육연구 , Vol.34 , No.6 , pp.411 -438 (Dec, 2014)
  33. [논문] 서임선, 김주후, 박준양, 용진선, 영성 증진 프로그램이 임상 간호사의 영적 및 심리사회적 상태에 미치는 효과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대한간호학회지) , Vol.44 , No.6 , pp.726 -734 (Dec, 2014)
  34. [논문] 노경옥, 김주후, 전유영, 사립 유치원 행사와 교육과정 연계의 실태 및 개선 방안 , 열린유아교육연구 , Vol.19 , No.5 , pp.119 -141 (Oct, 2014)
  35. [논문] 장미화, 김주후, 교내임상실습 및 현장임상실습의 참여태도, 만족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치위생학회지 , Vol.3 , pp.407 -415 (Jun, 2014)
  36. [논문] 강은아, 김주후, 곽승주, 기질 유형에 따른 유아 리더십 프로그램 효과분석 , 아시아아동복지연구 , Vol.11 , No.2 , pp.87 -114 (Jun, 2013)
  37. [논문] 강상철, 김주후,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협력수업 유형 및 교사수업 행동 연구 , 현대영어교육 , Vol.14 , No.1 , pp.177 -198 (Mar, 2013)
  38. [논문] 김주후, 안금선, 장미화, 임상전단계실습 교과목의 개설시기 및 치과경험에 따른 참여태도, 스트레스, 만족도 분석 , 한국치위생학회지 , Vol.13 , No.1 , pp.21 -29 (Mar, 2013)
  39. [논문] 박근수, 김주후, 평생교육사 역할의 중요도와 교육요구도 분석 , 평생학습사회 , Vol.8 , No.3 , pp.35 -57 (Dec, 2012)
  40. [논문] 김주후, 곽승주, 임채란, 가정방문 유아교육프로그램 교사의 역할과 정체성의 의미 , 아동복지연구 , Vol.10 , No.3 , pp.1 -23 (Dec, 2012)
  41. [논문] 이장익, 김주후,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 직업교육연구 , Vol.2 , pp.227 -246 (Jun, 2012)
  42. [논문] 박근수, 김주후, 코칭의 평생학습적 의미와 코칭스킬 구성요인 탐색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Vol.23 , No.4 , pp.1 -19 (Dec, 2011)
  43. [논문] 도미진, 김주후, 다문화 가정 유아의 학교 준비도 수준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사이의 관계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Vol.15 , No.3 , pp.29 -48 (Sep, 2011)
  44. [논문] 정우승, 김주후, 임태종, 세무서비스 개선요구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조세연구 , Vol.11 , No.2 , pp.224 -257 (Aug, 2011)
  45. [논문] 정선경, 김주후, 기업 내 학습조직 구축 및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 분석 , 한국HRD연구 , Vol.13 , No.3 , pp.29 -50 (Aug, 2011)
  46. [논문] 강상철, 김주후, 고등학교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 활용효과 분석 및 개선 방안 , 현대영어교육 , Vol.12 , No.2 , pp.49 -73 (Aug, 2011)
  47. [논문] 김주후, 김경란, 유윤영, 조기교육 실시에 따른 취학 전 유아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신념 분석 , 유아교육학논집 , Vol.15 , No.1 , pp.99 -116 (Jun, 2011)
  48. [논문] 유정은, 김주후, 김경란, 유치원준비도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탐색 , 유아교육학논집 , Vol.14 , No.6 , pp.293 -318 (Dec, 2010)
  49. [논문] 김주후, 이경선, 유아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가구특성별 분석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Vol.17 , No.1 , pp.21 -38 (Feb, 2010)
  50. [논문] 김은영, 김주후, 수준별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과정평가연구 , Vol.12 , No.3 , pp.223 -245 (Nov, 2009)
  51. [논문] 이경선, 김주후, 여성의 유치원 보육시설 및 사교육 선택유형 분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Vol.9 , No.10 , pp.464 -473 (Oct, 2009)
  52. [논문] 박미현, 김주후, 이봉선, 통합적 동시 활동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탐색활동 및 반응 탐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Vol.14 , No.3 , pp.467 -489 (Jun, 2009)
  53. [논문] 김주후, 김경란, 하은경,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참여 및 만족도 분석: 평가인증 심의 통과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Vol.15 , No.4 , pp.153 -176 (Dec, 2008)
  54. [논문] 정미경, 김주후, 노년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 한국노년학 , Vol.28 , No.3 , pp.603 -618 (Aug, 2008)
  55. [논문] 이경선, 김주후, 유아의 준비도 개념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이해 분석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Vol.15 , No.2 , pp.205 -223 (May, 2008)
  56. [논문] 김주후, 남궁지영,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분석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Vol.14 , No.1 , pp.153 -166 (Feb, 2008)
  57. [논문] 한성숙, 김용순, 김주후, 박진희, 맹광호, 안성희,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도 비교 ,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지 , Vol.10 , No.2 , pp.117 -124 (Dec, 2007)
  58. [논문] 김주후, 초등학교 입학 전 유아의 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신념 분석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Vol.14 , No.4 , pp.587 -603 (Nov, 2007)
  59. [논문] 김주후, 학교평가를 통해서 본 초등학교 교육의 질 유형화 분석 , 교육행정학연구 , Vol.24 , No.4 , pp.1 -15 (Dec, 2006)
  60. [논문] 김주후, 김주아,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운영 평가연구 , 교육학연구 , Vol.44 , No.4 , pp.223 -245 (Dec, 2006)
  61. [논문] 박남기, 김주후, 교육연구 사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교육정치학연구 , Vol.13 , No.2 , pp.75 -99 (Dec, 2006)
  62. [논문] 김주후, 자연활동 중심의 비판적 사고능력 측정을 위한 수행평가의 개발과 적용 , 교육과정평가연구 , Vol.9 , No.2 , pp.1 -17 (Nov, 2006)
  63. [논문] 김주후, 김주아, 교육성과를 포함한 책무성 중심 학교평가 모형 개발 및 적용 , 교육평가연구 , Vol.19 , No.3 , pp.21 -43 (Nov, 2006)
  64. [논문] 김주후, 강선우, 김주아,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설명 변인 및 유형화 분석 , 교육방법연구 , Vol.18 , No.2 , pp.221 -238 (Oct, 2006)
  65. [논문] 김주영, 김주후, 위계선형모델을 적용한 근린특성의 지가영향 분석 , 국토계획 , Vol.41 , No.5 , pp.33 -43 (Oct, 2006)
국제학술발표
  1. [학술회의] 김주후, 유정은, 김경란,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s readiness for young children in Korea ,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society annual conference , pp.71 -71 (Mar, 2010)
  2. [학술회의] 김은영, 김주후, Effects of ability-level tracking on self-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society annual conference , pp.37 -37 (Mar, 2010)
  3. [학술회의] 김주후, 남궁지영, Investigation of middle-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 아시아 교육의 기적 , Vol.1 , No.1 , pp.1 -8 (Oct, 2006)
  4. [학술회의] 김주후, 교육열 개념의 분석 , 아시아 교육의 기적 , Vol.1 , No.1 , pp.1 -10 (Oct, 2006)
국내학술발표
  1. [학술회의] 김주후, 곽승주, 전유영, 사이버 양육참여에 대한 영유아 어머니의 경험 탐색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Oct, 2016)
  2. [학술회의] 유정은, 김주후, 김경란, 유아교육기관 준비도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탐색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년 정기학술대회 , pp.360 -360 (Mar, 2010)
  3. [학술회의] 임채란, 곽승주, 김주후, 가정방문 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 초임교사의 역할수행 및 어려움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년 정기학술대회 , pp.376 -376 (Mar, 2010)
  4. [학술회의] 이경선, 김주후, 유아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가구특성별 분석 , 2009년 추계 국제학술대회 , Vol.1 , No.1 , pp.207 -224 (Nov, 2009)
  5. [학술회의] 김주후, 이경선, 여성의 유아대상 교육기관선택 유형 분석 , 여성가족패널 학술대회 , Vol.1 , No.1 , pp.123 -139 (Dec, 2008)
  6. [학술회의] 김주아, 김주후, 교육성과를 포함한 책무성 중심 학교평가 모형 개발 , 교육정책의 자율성과 공공성 , Vol.1 , No.1 , pp.58 -62 (May, 2006)
저서 및 번역
  1. [저서] 김주후, 박준양, 용진선, 이강숙, 조재선, 헬스케어영성(Spirituality in health care)4: 영적돌봄의 연구 (Dec, 2016)
  2. [저서] 김주후, 박준양, 용진선, 조재선, 헬스케어영성(Spirituality in health care)2: 영적 돌봄의 개념 (Jun, 2016)
  3. [저서] 김주후, 우리 아이의 미래를 디자인하는 7가지 질문 (May, 2016)
  4. [저서] 김주후, 박준양, 용진선, 조재선, 헬스케어영성(Spirituality in halth care)1: 건강과 영성의 전통 (Mar, 2016)
특허 및 기타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