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아주인칼럼

바이오매스에너지활용의 중요성

NEW 바이오매스에너지활용의 중요성

  • 박성숙
  • 2008-07-16
  • 49374

바 이오매스 에너지는 석탄, 석유 등 화석 연료에 비해 약 2배 이상으로 비싸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그런데 왜 EU,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보급, 확산을 위해 적극 노력하는 것일까?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2005년 2월 16일 정식 발효된 쿄토의정서에 의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대한 규제가 현실화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바 이오매스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이산화탄소가 대기로 방출된다. 그러나 바이오매스의 성장 과정에서는 대기로부터 동일한 량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므로 총량 기준으로 볼 때 바이오매스에너지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증가 효과는 없다.


그러므로 국제 사회에서는 바이오매스에너지를 ‘CO2 neutral’ 에너지로 규정하고 있다.


즉, 바이오매스에너지는 국가의 균형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미국은 자국 내 균형 발전을 위하여 바이오매스에너지 보급을 확산시키고 있다.


기존의 수송용 연료를 대체 할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은 현재 옥수수, 콩 등과 같은 농산물로 만들어지고 있다.


쿄 토 협약의 비준을 거부하며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에 소극적인 미국이지만 적극적인 바이오에탄올 보급으로 자국 잉여 농산물의 안정적인 소비를 기하며, 동시에 석유 수입량도 낮춤으로써 에너지안보 향상 효과도 얻고 있다. EU는 역내 농산물 가격의 안정을 위해 전체 농경지의 10%를 의무적으로 휴경하도록 하고 있는데 동 휴경지에 에너지 작물(energy crop)을 경작할 수 있도록 적정 수준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또 한, 바이오매스는 계속 재생 가능하므로 한번 사용하면 없어지는 화석 에너지와는 달리 자원 고갈의 문제가 없다. 따라서 석유 자원이 고갈되기 시작하는 2050년경 이후에는 바이오매스가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약 50%를 담당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화석 에너지에 비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보급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보급 활성화는 농림업의 부양 효과도 있어 산업간 균형 발전을 이루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바이오매스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으나 아직 초창기라서 보급이 본격화되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향후 바이오매스 에너지 보급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더 이상 미국 또는 EU와 같은 잉여농산물 국가에만 적용 가능한 기술이 아님을 직시하고 우리나라 농림업의 실정에 맞는 바이오매스 에너지 기술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


둘 째, 축산 분뇨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에 의한 에너지 생산은 환경 보호 측면뿐만 아니라 에너지 이용이라는 두 가지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 우선적으로 기술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져야 하고 농림산 부산물은 국내에서 가장 큰 가용 바이오매스 자원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실용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마 지막으로, 국내에서도 바이오디젤의 보급이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원료인 식물성 기름의 안정적인 수급이 중요 이슈가 될 것이다. 따라서 EU 등에서 시행하는 휴경지에서의 유채 재배와 같은 에너지 작물 경작 방안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런 방안이 현실성 있는 것으로 판명된다면 농산물 시장 개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농가 소득 보전뿐만 아니라 식물성 기름 수입대체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에너지 경제신문' 5월 21일자 칼럼

이전글

소유와 존재

다음글

고정밀위치측정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