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아주인칼럼

다양한 시각을 존중해주는 실험실

NEW 다양한 시각을 존중해주는 실험실

  • 박성숙
  • 2008-07-16
  • 60705
미국 버지니아텍 (Virginia Tech) 에서 박사과정으로 공부하고 있는 나는 아주대학교와 시카고에 소재한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IIT) 와의 복수 학위 제도를 통해 유학의 첫발을 내디뎠다. 시카고에서의 또 다른 학부 생활이 아마도 나의 전공인 기계공학을 실제 연구에 써먹을 수 있었던 첫 번째 기회가 아니었나 싶다. 물론, 아주대학교 대학원 연구실에서 한 학기 동안 인턴으로 있었지만, 그때는 나의 지식을 활용하기 보다는 배우는 입장이었다.
 
공부가 아니라 실제 연구·개발을 할 수 있었던 기회는 IIT에서의 두 번째 학기였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중장비 업체 캐터필러 (Caterpillar) 사와의 첫 프로젝트가 그것이었다. 이 프로젝트는 커먼레일 디젤 엔진에 들어가는 인젝터 (연료 분사 장치) 의 누유를 개선해 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사실, 학부생에게 주어진 것이었기 때문에 지금 생각해봐도 깊은 지식을 요구하는 프로젝트는 아니었던 것 같다. 연구소 측에서는 석·박사급 연구원이 오랫동안 이 문제를 풀지 못하자, 깊은 시각보다는 보다 넓은 시각으로 이 문제를  바라볼 필요성을 느꼈고, 학부생인 우리들에게 기회가 주었던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은 경우이다. 석·박사 연구원들이 풀지 못하는 문제를 학부생들에게 풀게 하다니···.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가장 크게 인상 깊었던 것은 그것이다. 당시 학부생이었던 우리보다 더 많은 연구와 공부를 했던 연구원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 학부생인 우리와 진지한 토론과 연구를 진행했다. 그런 점에서 가장 머릿속에 많은 것을 남겼고, 많은 것을 느끼게 해 주었던 프로젝트가 아니었나 싶다. 무엇보다 이 것은 학교 강의 시간에 과제로 주어지거나 소학회 혹은 동아리에서 주어지는 프로젝트가 아닌 실제 돈과 직결되는 기업과의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더욱 인상 깊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내가 얻은 가장 큰 소득은 자신감이었다. 미국에서 공부를 시작한지 1년도 되지 않은 아시아계 학생의 이야기를 모두 진지하게 들어주고, 동등한 입장에서 토론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었던 연구원들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내 자신도 지금 박사과정 중이지만 학부생들과 내 전공분야에 대해 동등한 입장에서 진지하게 이야기를 하기가 수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최종 보고서 발표, 그때의 설레임, 긴장감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이렇게 첫 회사 프로젝트 발표를 마친 후에 얻은 자신감은 그 이후에 수업 시간 프로젝트 발표 및, 학회 논문 발표 등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 당시 배웠던 것처럼 지금의 대학원에서의 연구도 여러 나라에서 모인 석·박사 학생들과 함께 토론을 하며 진행한다. 이런 시간동안 전혀 생각해보지 못했던 아이디어가 나오기도 하고, 내가 잘못 생각하고 있던 부분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특히, 대학원에서 연구를 하다보면,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주 혹은 몇 달 동안 하던 연구가 진척이 되지 않을 때가 있다. 이럴 때 후배뿐 아니라 내가 하고 있는 연구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동료에게도 그 해답 혹은 아이디어를 얻을 때가 있다. 그 분야에 깊이 관여되어있지 않은 사람이 오히려 쉬운 해답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미국의 대학원의 장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여러 나라에서 혹은 서로 다른 환경에서 공부하고 연구한 것을 나눌 수 있고, 같은 현상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것 말이다. 한국에서도 그런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된다면 적잖이 도움이 될 것 같다. 학부생 후배들이나 다른 나라에서 온 동료들과의 토론을 할 수 없더라도 서로 다른 분야를 전공한 사람들과의 토론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
 
IIT에서의 또 하나 소중한 경험은 프로젝트를 하면서 프로젝트의 진행을 주도했던 교수님이었다. 미국 최고의 공대중에 하나인 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와 UC Berkle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ley) 에서 학부 및 석·박사를 하셨던 분인데도, 프로젝트 진행 중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학부생인 우리에게 묻곤 하셨다. 그 어느 누구도 자신의 전공 외의 분야까지 모두 섭렵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인정하셨기 때문이다. 지금 버지니아텍 대학원에서의 지도 교수님도 마찬가지다. 연구를 하는 동안에 어려운 점에 부딪히거나 하면, 친절하게 가르쳐 주시거나 방향을 제시해 주시지만 당신이 모르는 부분이 있거나 궁금한 것이 있으면 아무리 어린 학생에게라도 물어보고 의견을 구하는 것을 서슴치 않는다. 또 그렇다고해서 학생들이 교수님을 이상하게 여기지도 않는다. 물론, 미국의 모든 교수님들이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이런 인간적인 실험실의 분위기 때문인지 학생들은 진심으로 교수님을 따르며 더욱 열심히 공부에 몰두 하고, 교수님들도 그런 학생들에게 애정을 가지고 열심히 가르치시는 것 같다.
 
공부에는 깊이도 중요하지만, 그 폭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얼마만큼 깊은 지식을 폭 넓게 사용할 수 있고, 폭 넓은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지는 대학의 연구실을 벗어나 이 드넓은 세상에서 다양한 사람들과의 토론과 경쟁 속에서 그 빛을 발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과 접하고, 다양한 시각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키울 수 있었던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준 아주대학교에 정말 감사한다. 세계의 인재들과 함께 공부하면서 얻은 이 경험과 지식은 내가 글로벌경쟁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하나의 무기가 되었다. 나는 지금도 이 무기를 멋지게 사용할 그 날을 손꼽아기다려본다.
 
이정우동문은 1995년 아주대 기계공학부에 입학하여, 2+2복수학위프로그램을 통해 2002년부터 미국 일리노이공대(IIT)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2003년 High Honor를 수여받으며 IIT를 졸업하고, 2003년 8월부터 버지니아텍 석사과정에 입학했다. 지난 2005년 석사학위 취득 후 현재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중이다